삼국사기 중 동서 양자의 상환 고증(三國史記中 東西 兩字相換 考證: 단재 신채호) - 1 삼국사기 중 동서 양자의 상환 고증(三國史記中 東西 兩字相換 考證) : 삼국사기(三國史記) 중 동서(東西) 두 글자(兩字-양자)가 서로 바뀐(相換) 것에 대한 고증(考證) 차 례 1. 동유낙랑(東有樂浪)의 시비 2. 삼국사기에 바뀐 동서 양자(東西 兩字) 3. 동서양자(東西兩字)의 바뀐 원인의 가정 4. 가정부터 .. 조선사연구초 2011.08.31
이두문 해석법(단재 신채호) - 12(끝) 古史上(고사상) 이두문 명사 해석법 : 옛 사서상에 나오는 이두문 명사 해석법 3) 앞 사람(前人-전인)이 위증한 것(者-자)을 교정할 수 있으니, 역옹패설에 신라 진흥대왕이 벽골제(속칭 김제만경-金堤萬頃 외밤이들)를 짓고 벼(도-稻)를 파종(種-종)하므로 후세 사람(후인)이 그 은덕을 생각하여 벼(稻-도.. 조선사연구초 2011.08.29
이두문 해석법(단재 신채호) - 11 古史上(고사상) 이두문 명사 해석법 : 옛 사서상에 나오는 이두문 명사 해석법 3. 결론 이상의 서술한 바는 곧 졸견으로 얻은 바 옛 역사상(古史上- 고사상)의 이두문으로 쓴 명사의 해석법이다. 이 따위 해석에서 얻는 사학적 연구상의 효과를 간략하게 펼처 보이리라(略陣-약진하리라). 1) 앞 사람(前人.. 조선사연구초 2011.08.28
이두문 해석법(단재 신채호) - 10 古史上(고사상) 이두문 명사 해석법 : 옛 사서상에 나오는 이두문 명사 해석법 열수(列水), 렬수(烈水) 등은 중국인이 오열수(烏列水), 욱열수(郁列水) 등을 줄여서(略-약하여) 쓴 것(者-자)이니, 모든 열수가 곧 모든 압록강이요 모든 압록강이 곧 모든 열수니, 시대와 경우를 따라 위치를 구별함은 옳거.. 조선사연구초 2011.08.27
이두문 해석법(단재 신채호) - 9 古史上(고사상) 이두문 명사 해석법 : 옛 사서상에 나오는 이두문 명사 해석법 6) 이신동명(異身同名)의 분증(分證)이니, : 글자의 같고 다름을 불문하고 이름이 같은 것(異身同名-이신동명)을 분석하여 이두문을 해석하는 방법이니, 전술한 同名異字(동명이자-이름이 같으나 글자가 다른 것)는 “라”.. 조선사연구초 2011.08.26
이두문 해석법(단재 신채호) - 8 古史上(고사상) 이두문 명사 해석법 : 옛 사서상에 나오는 이두문 명사 해석법 5) 동명이자(同名異字)의 호증(互證)이니, :다른 이름으로 된 글자(異名字-이명자)에서 음과 뜻과 연혁으로써 그 같은 이름(同名-동명)됨을 발견하여 이두문을 해석하는 방법이니, 전술한 모든 명사가 거의 동일한 명사를 서.. 조선사연구초 2011.08.25
이두문 해석법(단재 신채호) - 7 古史上(고사상) 이두문 명사 해석법 : 옛 사서상에 나오는 이두문 명사 해석법 4) 후명(後名)의 연증(沿證)이니, :나중에 지어진 이름(後名-후명)의 원래 음과 뜻을 찾아 그것으로 이두문을 해석하는 방법이니, 이를테면, 진수(陳壽) 삼국지 삼한전(三國志 三韓傳)에 “모든 관직(諸官 - 제관)”을 다“지(.. 조선사연구초 2011.08.24
이두문 해석법(단재 신채호) - 6 古史上(고사상) 이두문 명사 해석법 : 옛 사서상에 나오는 이두문 명사 해석법 3) 전명(前名)의 소증(遡證)이니, : 옛 이름(前名-전명)을 찾아 그것을 근거로 이두문을 해석하는 방법이니, 이를테면 황해도 문화현(文化縣)의 구월산(九月山)을 단군의 아사달(阿斯達)이라 하고, 해자(解字: 해석 하는 글자).. 조선사연구초 2011.08.23
이두문 해석법(단재 신채호) - 5 古史上(고사상) 이두문 명사 해석법 : 옛 사서상에 나오는 이두문 명사 해석법 2) 동류(同類)의 방증(傍證)이니, : (본문에서 그 해석을 얻을 수 없는 명사는 그와 같은 종류를 수집하여 추정 판단하는 방법을 쓴다.- 이 글 올린 사람이 덧붙여 쓴 것) (첫째, 같은 종류를 수집을 하고, 둘째 수집된 것을 근.. 조선사연구초 2011.08.22
이두문 해석법(단재 신채호) - 4 古史上(고사상) 이두문 명사 해석법 : 옛 사서상에 나오는 이두문 명사 해석법 2. 해석 방법 1) 본문의 자증(自證)이니, : 사서에 쓰인 본문을 가지고 이두문을 해석하는 방법이니 (본문 자체에서 해석방법을 얻을 수 있는 경우) 이를테면 삼국사기 직관지(職官志)에 각간(角干)을 일명 서불한(舒弗邯) 혹.. 조선사연구초 2011.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