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의 건국시기(년도) 문제 고구려의 건국년도를 밝히는 것은 우리 고대사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 고구려 건국년대가 밝혀지면 1) 고구려와 고조선(위만조선) 간의 관계, 2) 부여의 건국연대, 3) 신조선(부여)의 존재와 불조선, 말조선의 존재 4) 한사군의 위치 등을 알수있는 명백한 증거가 되기 때문이다. 고구려가 언제부.. 역사 2011.04.29
※ 삼조선의 변천, 연대(2) 3) 기원전 190년 경, 불조선에서는 위만이 불조선왕 기준(준왕)으로부터 나라를 빼앗아 위만조선을 수립하였다. 말조선 땅에서는 마한이 도읍을 남쪽으로 옮겼고 옛 도읍지인 평양지방에는 최씨가 낙랑국을 세웠다. 그뒤 얼마후 준왕이 위만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한(마한)에 침입하여 한왕(마한왕)이 .. 역사 2011.04.22
※ 삼조선의 변천, 연대(1) 삼조선의 변천에 대하여 조선상고사와 그밖의 책을 참고하여 연대를 말해보면 다음과 같다 < 기원전 4세기(기원전 323년 이후) 경, > 단군조선이 기자의 후예, 조선후가 왕이 됨으로써 삼조선(신조선, 불조선, 말조선)으로 분립되었다. -------------------------------------- 근거: 삼국지 동이전(한전, 위략) -.. 역사 2011.04.15
삼한과 남삼한 (아래내용은 조선상고사를 요약한 것임) 1) 삼한 삼한이란 원래 신한, 불한, 마한을 가리키는 말이다. 즉, 신조선을 다스리던 신한, 불조선을 다스리던 불한, 말조선을 다스리던 말한을 가리키는 말이다. 다시말해서 신조선의 왕, 불조선의 왕, 말조선의 왕, 세 임금을 가리키는 말이다. 여기서 ‘한’은.. 역사 2011.04.11
삼조선의 변천(3) 단재선생이 쓰신 「조선상고사」에 의하면 말조선의 변천은 다음과 같다. 3. 말조선의 변천(조선상고사 내용을 요약한 것) 1) 단군조선이 삼조선으로 분리될 때 말조선은 평양에 도읍하고 있었다. 2) 그 뒤(연대는 불명)에 말조선은 국호를 말한(馬韓)이라 고치고, 남쪽의 월지국으로 도읍을 옮겼으나 .. 역사 2011.04.11
삼조선의 변천(2) 단재선생이 쓰신 「조선상고사」에 의하면 불조선의 변천은 다음과 같다. 2. 불조선의 변천(조선상고사 내용 요약) 1) 불조선 독립: 기원전 311년, 기자(箕子)의 후예 조선후(朝鮮侯)가 불조선 왕이 됨 2) 기원전 200 여 년경, 기준(箕準)이 불조선왕이 됨.(준왕-準王) 3) 기원전 194년, 위만(衛滿)이 불조선으.. 역사 2011.04.10
삼조선의 변천(1) 단재선생이 쓰신 「조선상고사」에 의하면 삼조선의 변천은 다음과 같다. 1. 신조선 1) 신조선과 부여의 관계 조선상고사를 보면 다음과 같이 쓰여있다. 「북부여와 두 동부여와 고구려의 네 나라는 신조선의 판도 안에서 나라를 세웠다. 그러나 신조선이 멸망하여 부여 왕조가 되고 부여가 다시 나누.. 역사 2011.04.08
삼조선 왕가의 성씨 신조선은 성이 해씨(解氏) 니, 대단군 왕검의 자손이라 일컬은 자이고, 불조선은 성이 기씨(箕氏) 니 기자(箕子)의 자손이라 일컬은 자이고, 말조선은 성이 한씨(韓氏) 니 그 선대의 연원은 알 수 없으나, 왕부(王符)의 잠부론(潛夫論)에, “한(韓)의 서쪽도 역시 성이 한(韓)인데 위만(衛滿)에게 토벌당해.. 역사 2011.04.04
삼조선이 분립한 시대 단재선생께서 말씀하시는 삼조선이 분립한 시기는 언제인가? 이에 대하여 「조선상고사」는 다음과 같이 답하고 있다. “기원전 4세기 경에 신·말·불 삼조선이 분립한 것이겠다.” 이 답에 대한 근거 역시 조선상고사에 아래와 같이 쓰여 있다. 근거 1: 「사기에 보인 진막벌 조선은 전연시(全燕時) .. 역사 2011.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