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를 주먹으로 팬 고징 출처: 자치통감 양기 권160 무제 태청 원년(547년) 8월 무자일(24일) 황제가 일찍이 업(鄴)의 동쪽에서 사냥을 하는데 말을 달리는 것이 마치 나는 것과 같아 감위도독 오나라수공벌이 뒤따라오며 불렀다. “천자께서는 말을 달리지 마십시오. 대장군이 성을 냅니다.” 고징이 일찍이 모.. 역사 2012.05.17
고구려와 북위의 전투 자치통감 송기 권123 문제 원가 13년(436년) 4월 기사를 보면(날짜는 없음) 다음과 같다. 여름 4월에 (북)위의 아청(娥淸), 고필(高弼)이 연의 백랑성(요녕성 객랄심좌익현의 서남쪽)을 공격하여 그곳에서 승리하였다. 고려(고구려)가 장군 갈로 맹광을 파견하여 무리 수만명을 거느리고 양이(.. 역사 2012.05.15
북위의 역사 우리역사와 관련하여 북위의 역사를 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북위의 역사를 간단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북위를 세운 사람은 탁발규(도무제, 태조)이다. 도무제 탁발규는 전진의 부견이 비수의 싸움에서 동진에게 패배한 틈을 타 북방 민족을 토벌하고, 강국(强國)으로 등장한 후연을 .. 역사 2012.05.14
영태후 영태후 역시 우리 역사와 관련있는 인물이다. 영태후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본다. 영태후의 성씨는 호씨이다. 그래서 호태후라고 불린다. 시호가 영이므로 정사(正史)에서는 영태후라고 기록되어 있다. 자치통감에는 호충화라는 이름이 나오는데 충화가 제15계급에 해당하는 후궁의 호.. 역사 2012.05.13
풍태후 북위의 인물 중에서 우리역사와 관련있는 사람이 풍태후이다. 풍태후에 대해서 자치통감에 있는 기사와 문명태후 열전을 참고하여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풍태후는 시호가 문명(文明)이므로 문명태후로도 불리운다. 풍태후는 북연의 마지막 왕 풍홍의 친 손녀이다. 풍홍은 고구려로 도.. 역사 2012.05.12
문소황태후 둘째오빠 고언(高偃)의 아들, 고정(高貞) 비문(碑文) 북위 고정의 비(문) 출처: http://cafe.daum.net/hakunjai 에서/서예/번역/2번/고정비 1,2,3,4,5 北魏高貞碑 魏故䮾驤將軍․營州刺史․高使君․懿侯碑銘. 위(魏)의 고 봉양장군 ․ 영주자사 ․ 고사군 ․ 의후(故 䮾驤將軍 ․ 營州刺史 ․ 高使君 ․ 懿侯)의 .. 역사 2012.05.11
문소황태후 큰오빠 고곤 묘지명 발견 기사 출처: 연합뉴스(김용래) 날짜: 2006.01.02 제목 : 북위 이주 고구려인 묘지명 확인 북위 이주 고구려인 묘지명 확인 中따퉁서 문소황태후 큰오빠 고곤 묘지명 확인 고구려 이주민으로 중국 북위(北魏) 왕조 황태후까지 올랐던 문소황태후(文昭皇太后) 고조용(高照容.469-519)의 묘지명이 2004년 .. 역사 2012.05.10
문소황태후의 묘지명을 발견했다는 신문기사 순서 1. 연합뉴스 기사 2. 조선일보 기사(제시된 사이트에 들어가면 기사를 직접 볼수 있음) ※ 참고 아래 기사 중 사실과 다른 기사가 둘 있습니다. ① 문소황태후의 사망년도가 잘못되었습니다. 문소황태후는 519년에 사망하였다고 썼는데 자치통감에 의하면, 519년이 아니라 497년 7월에 .. 역사 2012.05.09
북위에서 활약한 또하나의 고구려인, 고숭(高崇) 고숭(高崇) 열전(위서 권77, 열전 제65). 차례 1. 고숭(高崇) 열전 2. 고숭(高崇) 열전 원문 3. 여태까지 소개한 북위에서 활약한 고구려 사람 4. 고숭(高崇) 열전 원문(전문) 1. 고숭(高崇) 열전 고숭(高崇)의 자는 적선인데 발해 수(현) 사람이다. ※참고 그런데 이러한 표현은 고조(高肇)와 마찬.. 역사 2012.05.08
북위의 황후가 된 고구려 여인, 선무황후 선무황후는 북위 7대 선무제(세종)의 황후이다. 선무황후의 할아버지는 고양(高颺)인데, 고양(高颺)은 슬하에 4남 3녀를 두었다. 아들들을 차례대로 열거하면 고곤(高琨), 고언(高偃), 고조(高肇), 고현(高顯)이다. 딸들 중에서 알려진 이가 바로 문소황태후 이다. 문소황태후는 선무.. 역사 2012.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