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와 후연((後燕)의 관계 글의 순서 1. 고구려와 후연((後燕)의 관계 2. 고구려와 후연의 관계 기록(삼국사기, 자치통감, 진서) 1. 고구려와 후연((後燕)의 관계 고구려와 후연의 관계는 모용수 시기와 참합피 패배 이후의 관계로 나눌 수 있다. 1) 모용수 시기(후연 초기) 2) 참합피 배패 이후 3) 결론 1) 모용수 시기(후.. 역사 2012.06.04
고구려와 전진(前秦)의 관계 삼국사기를 보면 고구려와 전진의 관계는 상당히 우호적이었다. 1) 고구려 제16대 고국원왕 본기를 보면, 『40년(370)에 진(秦)나라의 왕맹(王猛)이 연나라를 정벌하여 깨뜨렸다. 연나라 태부(太傅) 모용평(慕容評)이 도망쳐 왔는데, 왕은 [그를] 붙잡아 진나라로 보냈다. (四十年 秦王猛伐燕.. 역사 2012.06.02
고구려와 북주의 관계 북주는 우문태의 서위를 이어받은 나라이다. 즉, 우문씨의 나라이다. 북주는 개국한 해가 557년이고 망한 해가 581년이니 24년간 존속한 나라이다. 그러나 북위가 동위와 서위로 갈라진 것이 534년이므로 실질적으로 47년간 존속한 나라이다. 고구려와 북주의 관계 기록은 주서 이역열전 고.. 역사 2012.05.31
고구려와 북제의 관계 고구려와 북제의 관계를 알아보자. (아래,‘고구려와 북제의 관계표’ 첨부) 1. 북제에 대해서... 북제는 고환이 사실상 세운 동위를 이어받은 나라이다. 북제는 건국한 해가 550년이고 망한 해가 577년이니 27년간 존속한 나라이다. 동위가 성립한 해가 534년이므로 북제까지 합해서 실절적.. 역사 2012.05.29
고구려와 진(陳)나라의 관계 고구려와 진(陳)나라의 관계를 알아보자. 진(陳)나라의 동맹국은 딱 두 나라이다. 진서(陳書) 세조 본기 천가3년(562년) 윤2월 기유일조에 나오는, 「백제왕 여명을 무동대장군으로 고구려왕 고탕을 영동장군으로 삼았다.」 단 두 나라뿐이다. 또한 진(陳)나라가 외교 및 통상교역을 한 나라.. 역사 2012.05.28
고구려와 양나라의 관계 고구려와 양나라, 북위, 동위의 관계를 알아보자. 502년 양나라를 세운 소연(양무제)은 무엇이 급했는지 양나라를 건국한지 이틀 만에 동맹국들을 발표하고 있다. 그중에서 고구려를 가장 먼저, 가장 높게 언급하고 있다.(거기대장군) 다시 6년 뒤인 508년에 고구려의 격을 더 높이고 있다.(.. 역사 2012.05.26
고구려와 남제의 관계 고구려와 남제 및 북위의 관계를 살펴보자. 소도성이 남제를 건국한 것은 479년 4월이다. 그 뒤 한달 만에 동맹국을 발표하는데 토욕혼국이다. 아마 남제에게 가장 중요한 동맹국은 토욕혼이었던 모양이다. 그리고 1년 뒤인 480년 4월 두 번째 동맹국을 발표하는데 고구려이다. 그런데 토욕.. 역사 2012.05.24
고구려와 송(남조)과의 관계 고구려와 유송의 관계를 살펴보자. 유유가 유송을 건국한 것은 420년 6월인데 한달 만인 7월에 동맹국들을 발표한다. 그들의 면면을 보면... 양성은 (후)구지의 군주이고, 이흠은 서량의 군주, 걸불치반은 서진의 군주, 그 다음 고구려, 백제이다. 그런데 유송이 건국할 당시인 420년 무렵 유.. 역사 2012.05.22
고구려와 동진(東晋)의 관계 고구려와 동진의 관계를 알아보자. 고구려와 동진의 관계기록은 대표적으로 진서(晋書) 본기와 송서 이만열전 고구려국전이다. 차례대로 살펴보자 1. 진서(晋書) 본기 진서(晋書) 본기 중에서 우리역사와 관련된 기사는 다음과 같은 9개 항목뿐이다. 년도 진서(晋書) 본기 319 태흥2년(319년).. 역사 2012.05.20
고구려와 북위의 관계(3) 글의 순서 1.고구려, 북위 관계사 2. 배수(拜授)의 재평가 1. 고구려, 북위 관계사 고구려와 북위가 국경을 마주한 것은 북연이 망한 이후이다. 북연이 망한 것이 436년이고 북위가 북연의 서울 화룡(용성: 지금의 요녕성 조양시)에 군대를 주둔시킨 것이 437년이다. 이후 용성에 용성진(龍城.. 역사 2012.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