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패수고(平壤浿水考: 단재 신채호) - 7 그러나 중국사가(史家)가 이같이 위증의 문자를 조작함은 어느 때에 어떤 사람이 무슨 까닭으로 한 짓이냐. 전설에 의거하면 당나라 사람이 조선의 강성과 문명을 시기하여 당 태종이 일체 중국사에 보인 조선에 관한 기사를 고치고 이정과 소정방이 고구려와 백제를 멸하고는 그 서적을 몰수하여 불.. 조선사연구초 2011.07.06
평양 패수고(平壤浿水考: 단재 신채호) - 6 평양과 패수가 이같이 조선문명사상 중요한 지방으로써 천여 년 동안 그 고유의 위치를 잃고 천여리나 이사하여 평안도의 작은 지방으로 떠나 거기서 자리잡게 된 것처럼 보인 것은 위증한 서적의 소행이라고 하겠지만, 그러나 이 같은 위증이 행세되어 제2패수, 제2평양인 대동강, 평양이 제1패수, 제.. 조선사연구초 2011.07.05
평양 패수고(平壤浿水考: 단재 신채호) - 5 5. 제4의 착오 제4의 착오는 옛 사서를 읽을 때에 앞뒤의 문례(文例: 문장을 짓거나 쓰는 방법의 실제 예)를 모르고 자구(字句)의 글 뜻을 억측 해석하여 위증한 기록을 발견할 기회를 없게 함이다. 이를테면, 한서 지리지 요동군 험독의 주(註)에 “응소가 말하기를 (험독은) 조선왕 만의 도읍이다. 강물.. 조선사연구초 2011.07.04
평양 패수고(平壤浿水考: 단재 신채호) - 4 4. 제3의 착오 제3의 착오는 위조한 문자를 찾아 그 핵심을 명백하게 밝히지 못함이라. 이를테면, 1) 여태까지 학자들이 한서(漢書) 제기(帝紀) 무제(武帝) 원봉(元封) 3년 진번, 임둔에 대한 주(註) “신찬이 말하기를 무릉서에 의하면 임둔군은 그 치소(治所)가 동이현(東暆縣)이고 장안(長安)에서 6138리 .. 조선사연구초 2011.07.03
평양 패수고(平壤浿水考: 단재 신채호) - 3 3. 제2의 착오 제2의 착오는 평양과 패수와 관련된 고전(古典) 즉, 그와 관련된 사서(史書)의 본문을 잘 이해하지 못함이다. 이를테면 위략에 “조선이...후에 자손들이 점차 교만해지고 사나워지자 연燕이 이에 장수 진개를 보내어 그 서방을 공격하여 2천 여리의 땅을 취하고 만반한을 경계로 삼았으므.. 조선사연구초 2011.07.03
평양 패수고(平壤浿水考: 단재 신채호) - 2 대개 그들의 착오가 어디에 있는가 2. 제1의 착오 제1의 착오는 평양, 패수의 음의 뜻을 해독하지 못함이다. 역사책(史冊)에 보면 평양(平壤), 평양(平穰), 평나(平那), 변나(卞那), 백아(百牙), 낙랑(樂浪), 낙랑(樂良), 패수(浿水), 패강(浿江), 패하(浿河) 등은 다만 “펴라”를 각종의 가음(假音: 한자의 음.. 조선사연구초 2011.07.02
평양 패수고(平壤浿水考: 단재 신채호) - 1 라. 평양 패수고(平壤浿水考: 단재 신채호) 1. 서언(序言) 평양은 신지비사(神誌秘詞: 고려사 김위제전-金謂磾傳에 보임) 가운데 아주 먼 옛날의 세 서울(古 3京)의 하나인 백아강(百牙岡)이요, 조선 문명이 발생한 7대 강의 하나인 패수(浿水) 가의 서울이다. 그러나 시대를 따라 지명이 옮겨졌으므로 만.. 조선사연구초 2011.07.01
단재선생의 저작물 게시를 시작하면서... 나는 우리역사를 알기 위해서 내 나름대로 읽을 수 있는 사서는 다 읽어보려고 하였다. 그중 핵심적인 사서를 말하면... 삼국사기를 시작으로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중 알고 싶은 부분, 조선상고사, 중국정사조선전에 나오는 사기 조선열전, 한서 조선열전, 후한서 동이열전, 삼국지 동이열전, ..., ...신.. 조선사연구초 2011.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