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한고(前後 三韓考: 단재 신채호) - 21 이(二)는 변진(辰弁) 양 한의 건설과 마한의 혁성(革姓: 성 바뀜)이다. 진한은 순전히 신한 유민의 이주자가 건설한 바이고 변진은 불한과 신한의 양국 유민의 이주자가 공동건설한 바임은 이미 전술하였거니와, 여기에 덧붙이고자 하는 바는 기씨의 마한이 멸망한 사실이다. 대개 기씨 말엽에는 남에.. 조선사연구초 2011.08.10
삼한고(前後 三韓考: 단재 신채호) - 20 3.2. 중(中)삼한의 약사 윗글은 이전 학자들의 오류를 지적한 것뿐이다. 이제부터 후삼한의 역사를 말하고자 한다. 그러나 진번막(眞番莫)을 삼조선이라 하고 신라 가야 백제를 후삼한이라면 진번막(眞番莫) 삼조선은 이미 멸망하고 나가제(羅加濟: 신라, 가야, 백제) 삼국은 아직 건설되기 전에 준(準: .. 조선사연구초 2011.08.09
삼한고(前後 三韓考: 단재 신채호) - 19 제 삼으로 인하여 생긴 오류(해석의 오류)가 더욱 허다하니, 이제 대략 열거하면, 一, 진국(辰國)을 진한(辰韓)이외에서 찾아 삼한 이전에 진(辰)이란 특별한 1국이 있는 줄로 알며, 二, 진왕(辰王)을 태왕(대왕) 이외에서 찾아 진국이란 특별한 일국의 왕으로 오인했으며, 三, 따라서 진왕(辰王), 신소도(.. 조선사연구초 2011.08.08
삼한고(前後 三韓考: 단재 신채호) - 18 제 일(一)로 인하여 오류가 생긴 것(참고서의 오류) 이 또 둘이니 1, 마한은 전후 삼한(전삼한, 후삼한을 통하여 기씨 하나의 성(箕氏一姓) -부(否)와 준(準)을 기자(箕子)의 후예라 하면- 뿐이어늘 선배 유학자(선유)들이 후한서에 근거하여 준(準: 준왕, 기준)이 공격하여 파괴하기 이전의 마한을 원유(原.. 조선사연구초 2011.08.07
평양 패수고(平壤浿水考) - 11 병. 백제 중엽의 관계한 낙랑 평양 낙랑의 구별이 전술한 바와 같으나, 이에 백제사를 읽(독-讀)으면 고이왕 13년에 “유주자사 관구검이 낙랑태수 유무, 대방태수 궁준과 함께 고구려를 쳤다. 왕은 그 빈틈을 타서 낙랑의 변경지방 주민들을 습격하여 잡아왔다. 유무가 그 소식을 듣고 화를 내자 왕은 .. 조선사연구초 2011.08.06
삼한고(前後 三韓考: 단재 신채호) - 17 (다) 해석의 오류니, 진한(辰韓), 진왕(辰王) 등의 진(辰)과 신소도(臣蘇塗), 신분활(臣濆活), 신지(臣智), 신견지(臣遣支), 신운신(臣雲新) 등의 신(臣)은 그 음이 모두 신인데 원(元: 으뜸)의 뜻이요 총(總:모두)의 뜻으로 삼국시대 사람들이 이를 태(太: 크다)라 번역한 것이며, 비리(卑離)는 불이니 평지(.. 조선사연구초 2011.08.06
삼한고(前後 三韓考: 단재 신채호) - 16 (나) 편신(偏信: 한쪽말만 치우치게 믿음)의 오류니, 당 태종이 중국 옛 역사(古史)중에서 조선에 관한 기재를 멋대로 삭제 혹은 위조하였음은 이미 앞에서 기술하였거니와, 그뿐 아니라 당 태종의 백여 년 후 당 덕종때의 가탐(賈耽)은 소위 사이(四夷)연구의 전문가로서 더욱 조선과 중국관계를 잘 아.. 조선사연구초 2011.08.05
삼한고(前後 三韓考: 단재 신채호) - 15 3. 후삼한 – 삼국지에 보인 신라, 가야, 백제(羅 加 濟) 삼국 3.1. 후삼한 고증에 대한 선배 유학자(선유)의 오류 한구암(한백겸) 안순암(안정복) 정다산(정약용) 한대연 숙질 등 제선생이 비록 전삼한이 존재한 것을 인정치 못하였으나 진변마(辰弁馬) 삼한을 곧 신라 가라 백제라 하여 최고운(최치원)이 .. 조선사연구초 2011.08.04
삼한고(前後 三韓考: 단재 신채호) - 14 (나)는 삼조선의 결국 즉 삼조선이 일시에 같이 망(공망)하였느냐 하는 문제다. 사기 조선전에 "처음 연의 전성시에 일찍이 진번조선을 침략하여 복속시켰다(始全燕時嘗略屬眞番朝鮮)"이라 하니, 이것이 아마 삼조선의 최후일 것이다. 이는 곧 진개가 침입(入寇)하여 만반한(滿番汗) 이북 2천리를 전부 .. 조선사연구초 2011.08.03
삼한고(前後 三韓考: 단재 신채호) - 13 3개 문제 중 세번째는 조선의 흥망 변천한 사적이다. 이는 재료가 연구의 여지를 주지 않는 가장 어려운 문제이나 이 문제를 또한 2분하니, (가) 단군, 기자(箕子)의 대체(替代), 즉 기자(箕子)가 일개 중국 망명객으로 들어오자 어떻게 단군을 대신(代)하여 왕이 되었는가의 문제이다. 단(壇.. 조선사연구초 2011.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