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통일신라와 당의 관계-333, 나당전쟁 이후의 당나라-178, 8. 황소의 난-4)

상 상 2017. 6. 14. 20:41

통일신라와 당의 관계-333, 나당전쟁 이후의 당나라-178, 8. 황소의 난-4)

 

차례

 

. 관련 사료

1. 구당서 토번전()

2. 구당서 토번전()

3. 신당서 토번전

4. 구당서 돌궐전

5. 신당서 돌궐전

6. 구당서 측천본기

7. 신당서 측천본기

8. 구당서 거란전

9. 신당서 거란전

10. 구당서 발해전

11. 신당서 발해전

12. 구당서 숙종본기

13. 구당서 회홀전

14. 신당서 회골전

15. 구당서 남조전

16. 신당서 남조전

17. 구당서 신라전

18. 신당서 신라전

19. 삼국사기 신라본기

 

. 나당전쟁 이후의 당나라

1. 이진충의 난 이전

2. 이진충의 난

3. 돌궐족 묵철의 침공

4. 안사의 난

5. 토번의 침공

6. 토번의 침공 이후

7. 민란의 발생과 남조의 침공

8. 황소의 난

9. 절도사의 시대

10. 당의 멸망

 

. 통일신라와 당

1. 통일신라 이후의 당나라 약사

2. 신구당서에 의한 통일신라와 당

3.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의한 통일신라와 당

4. 사료를 통합해서 본 통일신라와 당의 관계

 

 

. 나당전쟁 이후의 당나라

8. 황소의 난

1) 연표(자치통감 요약을 기초로 작성)

 

 

1) 연표 - 4

내용(자치통감 요약)

878

왕선지가 강릉(江陵)을 습격, 외성 함락(87811)

형남절도사 양지온이 산남동도절도사 이복에게 구원을 청하니 이복은 그의 무리 전부와 사타(沙陀)기병5백으로 구원, 형문(荊門)에서 사타기병들이 왕선지군을 격파하니, 왕선지는 강릉을 약탈하고 철수. 강릉(江陵)에는 30만호가 있었는데, 이때 30~40%가 죽었다

초토부사 증원유가 왕선지를 신주(申州)에서 대파. 죽인 사람이 1, 항복시키거나 흩어서 보낸 사람 역시 1만 이었다.(16) 송위를 초토사에서 파작시키고 증원유를 초토사로 장자면을 부사로 삼았다. 서천절도사 고병을 형남절도사로 삼았다.(114)

 

이극용의 출현과 사타족의 난(8782~8807)

진무절도사 이국창(주야적심)의 아들 이극용이 사타부명마사가 되어 울주를 지켰다.

이때 하남의 도둑들이 벌떼처럼 일어나자 운주(雲州) 사타병마사 이진충이 아장 강군립 등과 모의

하기를 지금 천하는 크게 혼란해 조정의 영이 사방에서 시행되지 않고 있으니 이국창과 이극용을 보필하여 거사하자고 하였다. 이에 이진충은 이극용에게 군사를 일으켜

단문초를 제거하고 그를 대신하라고 하였다. 이진충이 대동방어사 단문초를 공격하여 잡고

이극용을 불렀다.

이극용이 운주성에 도착하였는데(24) 무리는 1만명. 이극용이 방어유후 칭하며, 단문초를 죽이고, 당 조정에 대동방어사유후 직위를 요구하였지만 허락하지 않았다.(28)

 

형남절도사 양지온을 깎아내려 침주사마로 삼았다(2)

 

왕선지의 사망(8782)

초토사 증원유가 보고하기를 황매(黃梅)에서 왕선지를 대파하여 5만여를 죽였으며 왕선지를 참수하니 나머지 무리들은 흩어졌다고 하였다.(2)

왕선지 사망

황소가 박주(亳州) 공격에 실패하였는데 상양이 왕선지의 남은 무리를 인솔하여 합세하고 황소를

주군으로 삼고 충천대장군이라고 하며 연호를 왕패라고 고쳤으며 관속들을 임명하였다(2)

 

황소가 기주(沂州)와 복주(濮州)를 함락시키고, 이후 누차 토벌군에게 패배하자 천평절도사 장양에게 편지를 보내 이것을 주문으로 올려달라고 청하니 당은 황소를 우위장군으로 삼고 운주로 가서 항복하라고 하였으나 황소는 가지 않았다.(2)

 

여러 도적들이 낭주와 악주를 함락시켰다.(3)

초토사 증원유는 형, 양에 주둔하고 있었는데 황소는 활주(滑州)에서부터 송주()·변주(汴州)를 침략하니 장자면을 동남면초토사에 충임하였다.(3)

황소는 위남(衛南)과 섭(), 양적(陽翟)을 공격하였다.

당 조정은 하양, 선무, 소의에서 3천군을 동원하여 낙양(洛陽)을 보위하고 좌신무대장군 유경인을 동도응원방일사로 삼고 아울러 세 진의 군사를 거느리게 하였으며 동도에서 군사 2천 명을 모집하는 것을 허락하였다.(3)

초토사 증원유에게 낙양으로 돌아와 의성군사 3천을 징발하여 환원(轘轅), 이궐(伊闕), 하음(河陰), 무뢰(武牢.호뢰)를 지키게 하였다.(3)

왕선지의 남은 무리인 왕중은이 홍주(洪州)를 함락시키니 강서관찰사 고상이 호구(湖口)로 도주하고 도적들은 돌아다니며 호남(湖南)을 약탈하며 별장 조사웅은 선주(宣州)와 윤주(潤州)를 약탈. 이에 당 조정은 증원유와 양복광은 군사를 이끌고 선, 윤을 구하라고 하였다.(3)

호남(湖南)의 군사들이 반란을 일으켜 도장 고걸이 호남관찰사 최근을 축출함.

황소가 장강()을 건너 건(), (), (), () 등의 주()를 함락시켰다.(3)

 

이국창을 대동절도사로 기용(8784)

당 조정은 이극용이 운중을 점거하였으므로 대동군 방어사였던 노간방을 진무절도사로, 진무절도사였던 이극용의 아버지 이국창을 대동절도사로 삼았는데 이는 이극용이 항거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 것이었다.(4)

도적의 별장 조사웅이 호주(湖州)에서 노략질 하다가 진해절도사 배거에게 패함.

강서의 도적 왕중은 사망, 부하장수 서당거 홍주(洪州) 점거(4)

요주(饒州)의 장수 팽유장이 의영병(義營兵.의용군)을 합쳐 요주 탈환(4)

이국창, 이극용 부자 당의 인사조치 거부, 차로군 함락 영무와 가람군 공격

이국창(주야적심), 이극용 부자(父子)가 당의 인사조치를 거부하고,

차로군(遮虜軍)을 함락시키고 영무(寧武)와 가람군(岢嵐軍)을 쳤다(5)

하동절도사 두한이 백성들을 징발하여 진양(태원시)의 해자를 파고(522)

강천규를 대주자사로 삼아 토단(토착민병) 1천명을 징발하여 대주로 가게 했다(24)

토단이 상을 내려달라고 요구하며 봉기하자, 재물을 주고 겨우 진정시킴

 

이에 두한이 재주가 없다고 하여 소의절도사였던 조상을 하동절도사로 삼았다(6)

왕선지의 나머지 무리가 절서(浙西)를 약탈하니. 형남절도사 고병을 진해(절서)절도사로 삼았다(6)

이국창·이극용의 사타군사들이 당림(唐林)과 곽현()을 불태우고 흔주(忻州)로 진격(6)

 

하동절도사 조상이 진양(태원)에 도착하여 토단 등의 군사들을 안정시키고(75)

의성, 충무, 소의, 하양의 군사들이 진양(晋陽)에 모여 사타의 군사를 막았다(7)

 

하동절도사 조상이 흔주를 구원하였으나 사타가 가람군(가림현)을 공격하고 조상의 군대를

홍곡(洪谷)에서 패배시킴(813)

황소가 선주(宣州)를 노략질하니 선흡관찰사 왕응이 이를 막았지만 남릉(南陵)에서 패배

황소는 선주에서 이기지 못하자 절동(浙東)을 공격하고 산길 7백리 가서 복건(福建)의 여러 주를

공격하였다(8)

 

평로군 절도사 송위가 죽었다(9)

이에 제도행영 초토사 증원유에게 평로절도사를 관장하게 하였다.(99)

하동절도사 조상이 갑자기 죽었다(910)

소의의 군사들이 진양을 약탈하니 백성들 스스로 소의군 1천 죽이고 진압시킴(914)

이도를 겸하중절도사로 삼았다.(9)

 

소의절도사 이균, 노룡절도사 이가거, 토욕혼·추장 혁련탁과 백의성, 사타 추장 안경,

살갈(薩葛) 추장 미해만의 군사를 합쳐 이국창 부자를 울주(하북성 울주)에서 토벌하게 하였다.(10)

가람군에서 사타에게 호응(11)

하동선위사 최제강을 하동절도사로 삼았는데(1116)

사타의 군사들이 석주(石州)를 공격하자 최제강이 이를 구원하였다.(1119)

황소가 복주(福州)를 함락함(1213)

 

하동절도사 최제강과 소의절도사 이균은 이극용과 홍곡(洪谷)에서 싸웠는데 하동과 절도 두 진의

군사가 패배하고 이균은 싸우다 죽었다.(12)

 

소의의 군사들이 대주(代州)에 들어가 약탈하였다가, 백성들에 거의 몰살당하고

남은 병사들은 아명곡(鴉鳴谷)을 거쳐 상당(上黨)으로 돌아갔다.(12)

 

왕영이 난을 일으킬 때 임안사람 동창이 토단을 가지고 도적을 토벌하는데 공을 세워

석경진장(石鏡鎮將)에 보임. 이 해에 조사웅이 절서와 절동에서 노략질 하니 동창이 1천명을 모집하여 '항주 8'를 조직해 도적 조사웅을 토벌(12)

전류의 등장(878년 말)

 

임안(臨安)사람 전류는 동창을 섬겼는데 공로세워 석경진도지병마사 됨

항주 8(沆州八都) : 의용군.

유맹안, 완결, 문인우, 서급, 두릉, 능문거, 조신 7명에 동창이 우두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