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 중 동서 양자의 상환 고증(三國史記中 東西 兩字相換 考證) - 3
: 삼국사기(三國史記) 중 동서(東西) 두 글자(兩字-양자)가 서로 바뀐(相換) 것에 대한 고증(考證)
4. 가정부터 실예(實例)
그러다가 삼국사기의 지리지를 읽으니(讀-독하니)
“가슬라 일명 하서량(迦瑟羅一名河西良)”이라 하였다.
가슬(迦瑟)은 “가시”요, “가시”는 포구 동쪽(포동-浦東)의 뜻(意-의)이니
고구려는 훈춘(琿春) 등지를 가시(迦瑟)라 하고,
신라 경덕왕 이후에는 지금(今-금) 강릉을 가시(迦瑟)라 한 것이니(者-자니),
그러면 고구려의 가시는 고구려 동북의 지명이요, 신라의 가시는 신라 동북의 지명인즉,
가시를 하동량(河東良)이라 하지 않고 하서량(河西良)이라 함은
東(동)의 뜻(意-의)를 취하지 않고 西(서)의 뜻(意-의)를 취함이니
이것이 이두자의 東(동) 자를 西(서) 자로 바꾸어 쓴 실예가 아니냐.
이로써 나의 제1 가정을 확증하였으며,
고구려에서 제천대회를 한맹(寒盟)이라 칭한 바
한맹의 일명이 동맹(東盟)이니, 한맹(寒盟)은 그 음이 한몽이 될지며,
한몽은 대회(大會)의 뜻(意-의)이니,
함몽의 한을, 음으로 쓰면 寒盟(한맹)의 寒(한)이 되려니와
뜻(意-의)으로 쓰면 서(西)가 될 터인데,
이제 서맹(西盟)이라 하지 않고 동맹(東盟)이라 함은
이두자의 서(西) 자를 동(東) 자로 바꾸어 쓴 실례가 아니냐.
이로써 나의 제 2가정을 확증하였다.
5. 두 종류 사책(兩種史冊)의 서로 다름(不同)
그러면 옛 사서 상(고사상-古史上)에 동서 양자가 모두 바뀌지 않고
바뀐 동서 양자가 있는 이외에 바뀌지 아니한 동서 양자도 있음은
무슨 까닭인가(何故-하고인가)
대개 삼국시대에 이두자로 쓴 사책(史冊)과 한자로 쓴 사책(史冊)이 있었으니,
가령 백제사에 왕근왕(王斤王 – 본기本紀에 삼근왕三斤王이라 함은 잘못 인쇄誤板 한 것이다)
일명(一名: 다른 이름)을 임걸왕(壬乞王)이라 하니,
하나(一: 일)는 한자 사책(史冊)에서 전한 이름(名-명)이면
다른 하나(他一: 타일)는 이두자 사책(史冊)에서 전한 이름(名-명)이며,
삼국유사에 노례(弩禮; 누리 즉, 世-세)왕의 일명이(다른 이름) 유례왕(儒禮王)이라 하니,
하나(一: 일)는 한자 사책(史冊)에서 전한 이름(名-명)이면,
다른 하나(他一: 타일)은 또 이두자 사책(史冊)에서 전한 이름(名-명)이니,
기타 모든 관명 지명 등에 두 이름(兩名-양명)이 있는 것(者-자)는
다 두 종류(兩種)의 사책에 쓰인 이름(名-명)을 다 같이 전한(竝傳-병전)한 것이며(者-자며),
소문전(蘇文傳: 연개소문전)에 “그 아버지는 동부대인(其父東部大人)”이라 하고,
주(註)에 “혹은 서부대인 이라고도 한다(或云西部大人)”이라 하였으니,
본문과 주가 인용한 것이(者-자가) 이같이 다른 것은(상반함은)
양자 중의 하나(一:일)가 한문 사책(史冊)에서 나온(出-출한) 동시에
다른 하나(他一: 타일)는 이두자 사책(史冊)에서 나온(出-출한) 것일지니,
동부 서부의 분별하지 못하게 됨이 더욱 옛 사서 상(고사상-古史上)에
동서 양자 바뀐 것이 있는 실증이다.
----------------------------------------------------------
1) 원본출처: 조선사연구초(인터넷 판 - 위키문헌)
http://ko.wikisource.org/wiki/%EC%A1%B0%EC%84%A0%EC%82%AC_%EC%97%B0%EA%B5%AC_%EC%B4%88
2) 참고문헌: 조선상고문화사(외), 비봉출판사, 2008년판
* 조선사 연구 초(朝鮮史硏究草), <저자: 신채호>
가. 고사상(古史上) 이두문 명사 해석법
나. 삼국사기(三國史記) 중 동서(東西) 양자(兩字)의 상환(相換) 고증(考證)
다. 삼국지 동이열전 교정
라. 평양 패수고
마. 전후 삼한고(前後 三韓考)
바. 조선역사상 일(一)천년래 제일 대사건
'조선사연구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지 동이열전 교정(단재 신채호) - 1 (0) | 2011.09.08 |
---|---|
『삼국지 동이열전 교정』을 올리면서 (0) | 2011.09.07 |
삼국사기 중 동서 양자의 상환 고증(三國史記中 東西 兩字相換 考證: 단재 신채호) - 2 (0) | 2011.09.02 |
삼국사기 중 동서 양자의 상환 고증(三國史記中 東西 兩字相換 考證: 단재 신채호) - 1 (0) | 2011.08.31 |
이두문 해석법(단재 신채호) - 12(끝) (0) | 2011.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