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사연구초

삼국사기 중 동서 양자의 상환 고증(三國史記中 東西 兩字相換 考證: 단재 신채호) - 2

상 상 2011. 9. 2. 09:27

삼국사기 중 동서 양자의 상환 고증(三國史記中 東西 兩字相換 考證) 

  : 삼국사기(三國史記) 중 동서(東西) 두 글자(兩字-양자)가 서로 바뀐(相換) 것에 대한 고증(考證)

 

 

2. 삼국사기에 바뀐 동서 양자(東西 兩字)

 

삼국사기에 서(西)자가 동(東)자로 바뀐 것이 많으니,

이를테면 온조왕 24년에 마한 왕이 온조를 질책(責-책)하여 가로되

“왕이 처음 강을 건너왔을 때 발 디딜 곳이 없었는데 내가 동북 1백리 땅을 나누어 주어 왕이 안착 되었소.

(王初渡河 無所容足 吾割東北一百里之地安之.)”라 한 바,

 

백제가 마한의 서북인즉 마한이 나누어 준(할여-割與한) 백리 땅(百里地-백리지)은,

온조가 초기에 자리잡고 살았던(初據-초거한) 미추성, 위례성 등도 서북이 됨이 명백하니

“동북일백리”는 “서북일백리”로 지음(作-작함)이 옳으며(可-가하며),

 

온조왕 37년에 “한수 동북 부락에 기근이 들어 고구려로 들어가는 자들이 일천여 호나 되어

패수와 대수 사이에는 비어 거주하는 사람이 없었다.(漢水東北部落饑荒 亡入高句麗者一千餘戶浿帶之間 空無居人.)”이라 한 바,

패수는 대동강이요, 대수는 임진강이면, 한수 서북 됨이 확연한즉,

 

한서 서북 부락이 도망하여야 패수와 대수 사이(浿帶之間)에 자리잡고 사는 사람(據人-거인)이 없으리니,

“한수동북”은 “한수서북”으로 지음(作-작함)이 옳으며(可-가하며),

 

삼국사기 지리지에 “신성국 동북대진(新城國之東北大鎭).”이라 한 바,

신성(新城)은 고노자(高奴子)가 선비(鮮卑)를 막고 남건(男建)이 이적(李勣)을 막던

고구려의 서북 요새인 고로 신당서에도 “신성 서쪽 변경 요새(新城賊之西邊要鄙.)”라

함이니 “동북대진”은 “서북대진”으로 지음(作-작함)이 옳다(可-가하다).

 

이상은 모든 동(東)자는 서(西)자로 지음(作-작함)을 인하여

나는 東有樂浪(동유낙랑)도 西有樂浪(서유낙랑)으로 지음(作-작함)이 옳다(可-가하다) 한다.

 

3. 동서 양자(東西兩字)의 바뀐 원인의 가정

 

무슨 까닭으로 삼국사기 중에 서(西)자를 동(東)자로 바뀐 자가 이다지 많으냐.

만일 당시의 사람들이 해와 달(日月-일월)이 출몰하는 동서의 방향까지 몰랐다 하면 삼국 문명이 모두 거짓말이 될 뿐이며,

혹은 당시의 베껴 쓴 사람(초사자-抄寫者)이나 후세의 인쇄하는 사람(인판자-印版者)이 틀림(誤-오)이라 하면

다른 문자는 그렇지 않은데 홀로 서(西)자만 쫓아다니면서 동(東)자로 틀릴(誤-오할) 리가 없으며,

또는 西(서) 자의 자형과 비슷한 兩(양) 자나 雨(우) 자나 而(이) 자나 亞(아) 자 등으로 잘못 베껴 쓰지(誤寫-오사치) 않고

오직 글자 뜻(字意-자의)가 반대되는 東(동) 자로 잘못 베껴 쓸(誤寫-오사할) 리도 없으며,

 

또는 반대되는 南(남) 자나 北(북) 자로 틀리지(誤-오치) 않고

이제 공교히 3, 4 처에나 동일한 西(서)자로만 틀렸다(誤-오하였다) 함도 성립하지 않는(不成의) 설이다.

 

그리하여 나는 우리말에 “동방”을 “시”라 하고 “서방”을 “한”이라 하므로

 

삼국시대의 학자들이 한자를 취하여 이두자를 만들 때에 서(西) 자의 음 “시”를 취하여

“동(東)”쪽을 “시(西)”로 쓰고,

 

그 대신에 “西(서)”를 “東(동)”으로 써서

동서(東西) 양자가 바뀌었으며

 

사가가 사책을 지을 때에 그 바뀐 동서 양자(東西 兩字)를 그대로 썼으므로

 

옛 사서 상에(고사상-古史上에) 바뀐 동서 양자(兩字)가 있다 라는 가정을 세웠다.

------------------------------------------------------------------

1) 원본출처: 조선사연구초(인터넷 판 - 위키문헌)

http://ko.wikisource.org/wiki/%EC%A1%B0%EC%84%A0%EC%82%AC_%EC%97%B0%EA%B5%AC_%EC%B4%88

 

2) 참고문헌: 조선상고문화사(외), 비봉출판사, 2008년판

 

* 조선사 연구 초(朝鮮史硏究草), <저자: 신채호>

 

가. 고사상(古史上) 이두문 명사 해석법

나. 삼국사기(三國史記) 중 동서(東西) 양자(兩字)의 상환(相換) 고증(考證)

다. 삼국지 동이열전 교정

라. 평양 패수고

마. 전후 삼한고(前後 三韓考)

바. 조선역사상 일(一)천년래 제일 대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