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史上(고사상) 이두문 명사 해석법
: 옛 사서상에 나오는 이두문 명사 해석법
열수(列水), 렬수(烈水) 등은 중국인이 오열수(烏列水), 욱열수(郁列水) 등을
줄여서(略-약하여) 쓴 것(者-자)이니,
모든 열수가 곧 모든 압록강이요 모든 압록강이 곧 모든 열수니,
시대와 경우를 따라 위치를 구별함은 옳거니와(可-가하거니와),
만일 열수를 한 개를 만들며, 압록강을 한 개를 만들려 함은 어리석은 상상(癡想-치상)에 불과하니라.
산해경이 비록 후세 사람(후인)이 쓰고 백익(伯益)이 쓴 것처럼 한 서적(書-서)이나
사마천 사기에 산해경을 언급(설급)하였은즉,
중국의 진, 한(秦,漢) 이전의 서적(書-서)됨은 명백한 바,
그중의 “조선은 열양 동쪽, 바다 북쪽, 산 남쪽에 있는데, 열양은 연에 속한다
(朝鮮在列陽東海北山南列陽屬燕)”는 문장(文-문)을 가지고
선배 유학자(先儒-선유)들이 열(列)은 한수(漢水-한수: 한강)요
양(陽)은 강북(水北-수북)의 뜻이요, 조선은 지금 평양이라 하여
朝鮮在列陽(조선은 열양에 있다)을 한구(一句)로 읽었으니,
그러면 列陽屬燕(열양은 연에 속한다)을 어떻게 해석할까?
列陽(열양)의 陽(양)은 平壤(평양)의 뜻과 같이 水(물)의 뜻이요
초성을 읽어 “라”로 발음할 것(者-자)이니,
중국인이 당시 조선인이 쓰는 이두문의 오열양(烏列陽), 혹은 욱열양(郁列陽)을
줄여(略-약하여) 열양(列陽)이라 쓴 것(者-자)이다.
그러므로, 朝鮮在列陽東(조선은 열양 동쪽에 있다)가 한 구(一句)이고,
海北(바다 북쪽)이 한 구(一句)이며,
山南(산 남쪽)이 한 구(一句)이고,
列陽屬燕(열양은 연에 속한다)이 한 개의 구(句)니
위의 열양(列陽)은 곧 영평부의 난하(灤河)를 가리킨 자요,
조선은 광녕 평양(廣寧 平壤) 혹은 해성 평양(海城 平壤)을 가리킨 자요,
海北(해북)은 발해의 북을 가리킴이요,
山南(산남)은 무려(無閭: 의무려산)의 남을 가리킴이니,
이것이 대개 진개가 쳐들어 온(秦開入寇 - 진개입구) 이후의 기록이므로
列陽屬燕(열양은 연에 속한다)이라 함이니라.
관야정(關野貞:일본인)의 조선고적도설 해설 점제비(朝鮮古蹟圖說解說 黏蟬碑) 주(註)에
그 비의 발견에 의하여 역래 논쟁(歷來爭論)이 되던 열수는 대동강이 됨이 옳다(可하다) 하였으나,
이는 반드시 한서 지리지의
“列水西至黏蟬入海(열수는 서쪽으로 점선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를 근거함 일지나,
그러나 이는
(1) 열수의 다수(多數-수가 많음)됨과
(2) 한서 주(註)의 안사고(顔師古)등의 위증이 있음을 모른 말이라.
(2)에 속한 논변은 졸저 “평양 패수고”와 “전후 삼한고”에 보이니라.
나의 친구 모군(余友某君-여우모군)이 압록(鴨綠)의 鴨은 음이“압”이니 앞(前-전)의 뜻이요,
압록(鴨綠)의 옛 칭호(古號-고호)인 마자(馬訾)의 馬는 음이 “마”니
南(남: 남의 고어는 '마'이다. 그래서 남풍을 마파람이라고 함)의 뜻이요,
송화강의 옛 칭호(古號-고호)인 粟末(속말)의 粟은 음이“속”이니,
안(裡-뜻은 속, 음은 리)의 뜻이라 하였다.
압록의 “압”은 잘못 이해(오해)한 것이나 그 나머지는 거의 이치에 가깝다(近理-근리).
송화강은 만주어에“송아리”라 하니“송아리”는 “속아리"의 변화일지니,
"속아리"는 “나라 안(國裡-국리)”의 “아리”란 뜻일지며,
압록의 일명이 매하(梅河)이니 매(梅)가 마자(馬訾)의 마(馬)와 비슷하니
나라의 남쪽(國南-국남)의 장강(長江)인 고로 “마아리”라 함이며,
난하(灤河), 요하(遼河), 한수(漢水) 등의 구별한 명사는 찾을 수 없으나
모두 “아리(뜻은 오리)”로 하고 그 앞에 구별의 말이 있었을지니라.
고대에는 지명뿐 아니라 인명도 부자 조손(父子 祖孫- 아버지와 아들, 할아버지와 손자)이 같이 짓고,
세대(世代) 혹 대•소 등 글자(字-자)를 그 앞(上-상)에 씌워(冠-관하여) 구별하였다.
그런데 김부식이 신라에 두(兩-양) 유리왕(儒理王)이 있음을 의아(疑-의)하게 여겨
그 하나(其一: 기일)는 례(禮)자로 고친다(改-개)고 명확하게 말했으며
(그래서 신라에는 유리 이사금과 유례 이사금이 있음),
백제에 두(兩-양) 개루왕(蓋婁王)을 의아(疑-의)하게 생각하여 그 하나(其一: 기일)는
개로왕(蓋鹵王)으로 하였으나,
이는 다 주공(周公), 공자(孔子)의 휘법(諱法: 높은 사람의 이름 쓰기를 피하는 법)이
수입된 뒤의 안목으로 옛 역사(古史-고사)를 읽은(讀-독한) 까닭이다.
여조(麗朝: 고려조, 고려시대) 초년까지도 그 유풍이 있었으므로
안동권씨의 족보에 의거(據-의)하면 권태사(權太師: 금나라 시조)의 이름이 행(幸)이요,
그 아들의 이름이 인행(仁幸)이니라.
이 따위 관계를 모르고 옛 역사(古史-고사)를 연구하면 마침내 장님(맹인)이 밤길 가는 것 처럼 되느니라.
--------------------------------------------------------------------------------
1) 원본출처: 조선사연구초(인터넷 판 - 위키문헌)
http://ko.wikisource.org/wiki/%EC%A1%B0%EC%84%A0%EC%82%AC_%EC%97%B0%EA%B5%AC_%EC%B4%88
2) 참고문헌: 조선상고문화사(외), 비봉출판사, 2008년판
* 조선사 연구 초(朝鮮史硏究草), <저자: 신채호>
가. 고사상(古史上) 이두문 명사 해석법
나. 삼국사기(三國史記) 중 동서(東西) 양자(兩字)의 상환(相換) 고증(考證)
다. 삼국지 동이열전 교정
라. 평양 패수고
마. 전후 삼한고(前後 三韓考)
바. 조선역사상 일(一)천년래 제일 대사건
'조선사연구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두문 해석법(단재 신채호) - 12(끝) (0) | 2011.08.29 |
---|---|
이두문 해석법(단재 신채호) - 11 (0) | 2011.08.28 |
이두문 해석법(단재 신채호) - 9 (0) | 2011.08.26 |
이두문 해석법(단재 신채호) - 8 (0) | 2011.08.25 |
이두문 해석법(단재 신채호) - 7 (0) | 2011.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