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통일신라와 당의 관계-59, 신당서 측천본기

상 상 2015. 3. 18. 17:40

통일신라와 당의 관계-59, 신당서 측천본기

 

차례

 

. 관련 사료

1. 구당서 토번전()

2. 구당서 토번전()

3. 신당서 토번전

4. 구당서 돌궐전

5. 신당서 돌궐전

6. 구당서 측천본기

7. 신당서 측천본기

8. 구당서 거란전

9. 신당서 거란전

10. 구당서 발해전

11. 신당서 발해전

12. 구당서 숙종본기

13. 구당서 회홀전

14. 신당서 회홀전

15. 구당서 남조전

16. 신당서 남조전

17. 구당서 신라전

18. 신당서 신라전

19. 삼국사기 신라본기

 

. 나당전쟁 이후의 당나라

1. 이진충의 난 이전

2. 이진충의 난

3. 돌궐족 묵철의 침공

4. 안사의 난

5. 토번의 침공

6. 토번의 침공 이후

7. 민란의 발생과 남조의 침공

8. 황소의 난

9. 절도사의 시대

10. 당의 멸망

 

. 통일신라와 당

1. 통일신라 이후의 당나라 약사

2. 신구당서에 의한 통일신라와 당

3.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의한 통일신라와 당

4. 사료를 통합해서 본 통일신라와 당의 관계

 

 

. 관련 사료

1. 구당서 토번전()

2. 구당서 토번전()

3. 신당서 토번전

4. 구당서 돌궐전

5. 신당서 돌궐전

6. 구당서 측천본기

7. 신당서 측천본기

 

당서 측천본기

1) 원문: 新漢籍全文(http://hanchi.ihp.sinica.edu.tw/ihp/hanji.htm) /免費使用//正史/唐書卷四/則天皇后

 

7.신당서 측천본기(4)

번 역 문

원 문

696

1월 갑인일누사덕을 숙변도 행군부총관으로 삼아토번을 쳤다.

一月甲寅婁師德為肅邊道行軍副總管以擊吐蕃己巳改崇尊廟為太廟

3월 임인일왕효걸 및 누사덕이 토번과 소라한산에서 싸웠으나패하였다.

三月壬寅王孝傑婁師德及吐蕃戰于素羅汗山敗績

5월 임자일거란 수령 송막도독 이진충과 귀성주자사 손만영이 영주(營州)를 함락하고도독 조문홰를 죽였다. 을축일좌응양위장군 조인사우금오위대장군 장현우좌위위대장군 이다조사농소경 마인절 등이 쳤다.

五月壬子契丹首領松漠都督李盡忠歸誠州刺史孫萬榮陷營州殺都督趙文翽乙丑左鷹揚衞將軍曹仁師右金吾衞大將軍張玄遇左威衞大將軍李多祚司農少卿麻仁節等擊之

7월 신해일춘관상서 무삼사를 유관도 안무대사로납언 요숙을 부(안무대사로) 삼아거란에 대비하였다.

七月辛亥春官尚書武三思為榆關道安撫大使納言姚璹為副以備契丹

8월 정유일장현우조인사마인절 등이 거란과 황장곡에서 싸웠으나패하여()현우와 ()인절이 잡혔다.

八月丁酉張玄遇曹仁師麻仁節等及契丹戰于黃麞谷敗績執玄遇仁節

9월 경자일동주자사 무유의를 청변도 행군대총관으로 삼아거란을 쳤다. 정사일토번이 양주(涼州)를 침구하여도독 허흠명을 죽였다. 경신일병주장사 왕방경을 난대시랑으로 삼고전중감 이도광을동봉각란대평장사로 삼았다

九月庚子同州刺史武攸宜為清邊道行軍大總管以擊契丹丁巳吐蕃寇涼州都督許欽明死之庚申幷州長史王方慶為鸞臺侍郎殿中監李道廣同鳳閣鸞臺平章事

10월 신묘일거란이 기주(冀州)를 침구하여자사 육보적을 죽였다. 갑오일죄인을 재심사하여 풀어주었다.

十月辛卯契丹寇冀州刺史陸寶積死之甲午慮囚

697

1월 을사일죄인을 재심사하여 풀어주었다.

一月乙巳慮囚

3월 경자일왕효걸과 손만참(손만영)이 동협석곡에서 싸웠으나패하여()효걸이 죽었다.

三月庚子王孝傑及孫萬斬戰于東硤石谷敗績孝傑死之

4월 계미일우금오위대장군 무의종을 신병도 행군대총관으로 삼아우표도위장군 하가밀과 함께 거란을 쳤다.

四月癸未右金吾衞大將軍武懿宗為神兵道行軍大總管及右豹韜衞將軍何迦密以擊契丹

5월 계묘일누사덕을 청변도 행군부대총관으로우무위장군 사타충의를 청변중도 전군총관으로 삼아거란을 쳤다.

五月癸卯婁師德為清邊道行軍副大總管右武衞將軍沙吒忠義為清邊中道前軍總管以擊契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