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조공의 진실⑤(외교관계를 단절하자 조공하였다는 기록도 사라졌다)

상 상 2013. 2. 8. 17:59

고구려와 중국의 관계-61(북위 때㉗: 조공의 진실⑤)

 

Ⅰ. 조공

가. 위서 본기의 조공 기록

A. 위서 전체

B. 모용수(후연) 부분(위서 본기 중 모용수가 북위에 조공했다는 기록)

C. 동진 부분(위서 본기 중 동진이 북위에 조공했다는 기록)

D. 남송(유송)부분(위서 본기 중 유송이 북위에 조공했다는 기록)

E. 남제부분(위서 본기 중 남제가 북위에 조공했다는 기록)

 

 

 

E. 남제부분(위서 본기 중 남제가 북위에 조공했다는 기록)

 

이번에는 남제가 북위에 조공을 했다는 기록을 보자.

여기서도 남제의 황제들이 북위에 조공했다는 기록이 많은데 특징적인 것은,

사신 왕래를 끊어버리자 조공했다는 기록도 사라진 점이다.

 

서로 전쟁을 했어도 조공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비하여

국교를 단절해 버리자, 사신왕래가 끊어졌고,

이에따라 조공했다는 기록도 사라진 것이다.

 

북위가 남제와 국교를 단절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494년 7월에 소란이 그의 주군 소소업을 죽이고 (소)소업의 아우 (소)소문을 황제로 세웠다.

그러더니 그해 10월 소란이 또다시 그의 주군 소소문을 폐하여 죽이고 참람되게 제위에 올랐다.

소란이 두 번씩이나 자기 주군을 죽이고 황제가 된 것이다.

 

이렇게 되자 유학으로 한족화된 북위의 고조는 소란(蕭鸞: 남제의 5대 황제)을 패역한 악인으로 규정하고

국교를 단절함과 동시에 악인을 처벌하기위해 정벌을 한다

한족의 유교적 정의에 입각하여 소란을 악인으로 규정하고 단죄하려고 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국교가 끊어지자 사신 왕래가 없어졌고,

사신 왕래가 없어지니까 조공했다는 기록도 없어진 것이다.

 

여기서 알수 있는 점은

조공이란 국교가 열리고 존속된 동안에 사신의 왕래가 있어야만 조공했다는 기록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국교가 정상화되어 있다는 전제 하에

사신의 왕래 있어야만 조공의 기록이라는 게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조공이란 사신의 왕래에 수반된 것’이라는 말이다.

사신의 왕래가 없으면 조공했다는 기록도 없다는 것이다.

 

아주 간단히 말하면‘조공의 기록이란 사신의 왕래’다.

 

그리고, 또한번 확인하고자 하는 것은

1) 조공이란 하위국가가 상위국가의 정치 군사적 압박에 못이겨 물건을 상납한 것이라든가,

2) 문화적 하위 국가가 문화적 요구 때문에 물건을 상납한 것이라든가,

3) 벼슬을 받기 위해서 물건을 상납한 것이라든가(소위 조공책봉 체계), 하는 것은 전부 거짓말임을 알 수 있다.

 

북위가 남제를 정벌하려다가 실패하였으니 1)번에 해당하지 않고

남제나 북위나 비슷한 문화를 가졌으므로 2)번에 해당하지 않으며

남제도 황제의 나라이니 3)번에도 해당하지 않는다.

 

소위 조공책봉 체계를 떠드는 자들이 말하는 조공은 거짓임이 또다시 드러난 순간이다.

그 사람들이 말하는 조공은 거짓이라는 말이다.

사신을 끊어버리니 조공의 기록도 없어진 상황을 위의 3가지는 모두 설명 못한다.

 

또하나,

1) 남제가 북위에 조공했다는 기록이 있다고 해서 남제가 북위의 하위정부라거나 종속정부, 지방정부가 아니라는 점이다.

 

2) 조공은 외교적 행위이며 거기에 경제적 행위가 수반된 것이라는 점이다.

 

 

 

=========위서 본기 중 남제가 북위에 조공했다는 기록=======

 

 

1. 고조기(高祖紀)

480년(태화4년)

봄 정월 계묘일,농서공 원침 등이 소도성(남제 태조)의 마두수(안휘성 회원현 남쪽, 마성)를

공격하여 이겼다.(春正月癸卯,隴西公元琛等攻克蕭道成馬頭戍)

 

무오일, 소도성(남제 태조)의 서주자사 최문중이 회북(회하 북쪽)을 침구하여 치미수를 함락시켰다.

(戊午,蕭道成徐州刺史崔文仲寇淮北,陷茬眉戍)

 

2월, 상서 유명근을 보내 기병 2천을 이끌고 남쪽을 토벌하게 하였다.(二月,遣尚書游明根率騎二千南討)

※남제를 친 것임

 

8월 을묘일, 소도성(남제 태조)의 양주자사 최혜경이 장사 배숙보를 보내 무리를 이끌고 무흥을 침구하므로 관성의 저족 우두머리 양서가 격파하니 (배)숙보는 남정(南鄭)으로 되돌아갔다.

(八月乙卯,蕭道成梁州刺史崔慧景遣長史裴叔保率眾寇武興,關城氐帥楊鼠擊破之,叔保還南鄭)

 

481년(태화5년)

2월 경술일,남쪽을 정벌하는 여러 장수가 소도성의 유격장군 환강을 회양에서 격파하였다.

(소)도성의 예주자사 원숭조가 하채(下蔡)를 침구하여 창려왕 풍희가 격파하였다.

가양군왕 (원)가가 (소)도성의 장수를 대파하여,3만여명을 사로잡아 (북위의) 서울로 보냈다.

(二月庚戌,南征諸將擊破蕭道成游擊將軍桓康於淮陽。道成豫州刺史垣崇祖寇下蔡,昌黎王馮熙擊破之。

假梁郡王嘉大破道成將,俘獲三萬餘口送京師)

 

가을 7월 갑자일에 소도성(남제 태조)이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秋七月甲子,蕭道成遣使朝貢)

 

482년(태화6년)

3월 이달에 소도성이 죽고 아들 (소)색이 참람되게 제위에 올랐다.(三月 是月,蕭道成死,子賾僭立)

 

483년(태화7년)

가을 7월 갑신일, 가원외산기상시 이표、원외랑 난영을 소색(蕭賾: 남제 2대 황제)에게 사신으로 가도록 명하였다.

(秋七月甲申,詔假員外散騎常侍李彪、員外郎蘭英使於蕭賾)

 

※자치통감:

가을 7월, 갑신일(8일) 위는 가원외산기상시인 돈구 사람 이표로 하여금 와서 보빙하게 하였다.

(원문: 秋七月甲申,魏使假員外散騎常侍頓丘李彪來聘, 제기1 무제 영명원년-483년 7월 갑신일 조)

 

☞역시 본인이 번역해본다면...

가을 7월 갑신일, 위는 가원외산기상시 돈구 사람 이표로 하여금 내빙하게 하였다.

(예물을 가지고 남제의 조정을 방문하게 하였다)

◎내빙-來聘: (외국(外國) 사신(使臣)이)그 나라의 예물(禮物)을 가지고 조정(朝廷)을 방문(訪問)함

 

11월 신축일에 소색(蕭賾: 남제 2대 황제)이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十有一月辛丑,蕭賾遣使朝貢)

 

484년(태화8년)

5월 갑신일, 원외산기상시 이표、원외랑 난영을 소색(蕭賾: 남제 2대 황제)에게 사신으로 가도록 명하였다.

(五月甲申,詔員外散騎常侍李彪、員外郎蘭英使於蕭賾)

 

9월 갑오일에 소색(蕭賾: 남제 2대 황제)이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九月甲午,蕭賾遣使朝貢)

겨울 10월, 소색의 쌍성을 지키는 우두머리 왕계종이 내속하였다.(冬十月,蕭賾雙城戍主王繼宗內屬)

 

11월 을미일, 원외산기상시 이표、원외랑 난영을 소색(蕭賾: 남제 2대 황제)에게 사신으로 가도록 명하였다.

(十有一月乙未,詔員外散騎常侍李彪、員外郎蘭英使於蕭賾)

 

485년(태화9년)

5월, 고려국과 소색이 모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五月,高麗國及蕭賾並遣使朝貢)

신유일, 원외산기상시 이표、상서랑 공손아와 6명을 소색에게 사신으로 가도록 명하였다.

(辛酉,詔員外散騎常侍李彪、尚書郎公孫阿六頭使蕭賾)

 

486년(태화10년)

3월 경신일에 소색이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三月庚申,蕭賾遣使朝貢)

 

488년(태화12년)

여름 4월 소색의 장수 진현달 등이 변경을 침구하였다.(夏四月,蕭賾將陳顯達等寇邊)

 

489년(태화13년)

봄 정월 무진일에 소색이 무리를 보내 변경을 침구하여 회양태수 왕승이 치니 달아났다.

(春正月戊辰,蕭賾遣眾寇邊,淮陽太守王僧擊走之)

 

8월 을해일, 조서로 겸원외산기상시 형산、겸원외산기시랑 후영소를 소색에게 사신으로 가도록 명하였다.

(八月乙亥,詔兼員外散騎常侍邢產、兼員外散騎侍郎侯靈紹使於蕭賾)

 

12월 갑오일에 소색이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十有二月甲午,蕭賾遣使朝貢)

 

490년(태화14년)

여름 4월 갑오일, 겸원외산기상시 형산、겸원외산기시랑 소계련을 소색에게 사신으로 가도록 명하였다.

(夏四月甲午,詔兼員外散騎常侍邢產、兼員外散騎侍郎蘇季連使於蕭賾)

 

11월 정사일, 소색이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十有一月丁巳,蕭賾遣使朝貢)

 

491년(태화15년)

2월 기축일, 소색이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二月己丑,蕭賾遣使朝貢)

 

여름 4월 갑술일, 원외산기상시 이표、상서랑 공손아와 6명을 소색에게 사신으로 가도록 명하였다.

(夏四月甲戌,詔員外散騎常侍李彪、尚書郎公孫阿六頭使於蕭賾)

 

9월 신사일, 소색이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九月辛巳,蕭賾遣使朝貢)

 

11월 무인일, 가통직산기상시 이표、가산기시랑 장소유를 소색에게 사신으로 가도록 명하였다.

(十有一月戊寅,詔假通直散騎常侍李彪、假散騎侍郎蔣少遊使蕭賾)

 

492년(태화16년)

3월 신사일, 소색이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三月辛巳,蕭賾遣使朝貢)

 

가을 7월 갑술일, 겸원외산기상시 송변、겸원외산기시랑 방량추를 소색에게 사신으로 가도록 명하였다.

(七月甲戌,詔兼員外散騎常侍宋弁、兼員外散騎侍郎房亮使於蕭賾)

 

12월 이달에 소색이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十有二月,是月,蕭賾遣使朝貢)

 

493년(태화17년)

봄 정월 을축일, 겸원외산기시랑 유승숙을 소색에게 사신으로 가도록 명하였다.(乙丑,詔兼員外散騎侍郎劉承叔使於蕭賾)

 

여름 4월, 이달에 소색의 정로장군과 직합장군 그리고 야만인 추장 전익종이 부락 4천여호를 이끌고 내속하였다.

(夏四月 是月,蕭賾征虜將軍、直閤將軍、蠻酋田益宗率部落四千餘戶內屬)

 

가을 7월, 이달에 소색이 죽고 (그의) 손자 (소)소업이 참람되게 제위에 올랐다.

(秋七月 是月,蕭賾死,孫昭業僭立)

 

9월 임자일, 겸원외산기상시 고총、겸원외산기시랑 가정을 소소업에게 사신으로 가도록 명하였다.

(九月壬子,詔兼員外散騎常侍高聰、兼員外散騎侍郎賈禎使於蕭昭業)

 

494년(태화18년)

2월 계묘일, 소소업(남제 3대 황제)이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二月癸卯,蕭昭業遣使朝貢)

 

6월 기사일, 겸원외산기상시 노창、겸원외산기시랑 왕청석을 소소업에게 사신으로 가도록 명하였다.

(六月己巳,詔兼員外散騎常侍盧昶、兼員外散騎侍郎王清石使於蕭昭業)

 

가을 7월, 이달에 섬 오랑캐 소란이 그의 주군 소소업을 죽이고 (소)소업의 아우 (소)소문을 (황제로)세웠다.

(秋七月 是月,島夷蕭鸞殺其主蕭昭業,立昭業弟昭文)

 

겨울 10월, 이달에 소란이 그의 주군 소소문을 폐하여 죽이고 참람되게 제위에 올랐다.

(冬十月 是月,蕭鸞廢殺其主蕭昭文而僭立)

 

☆ 이렇게 되자 유학으로 한족화된 북위의 고조는 소란(蕭鸞: 남제의 5대 황제)을 패역한 악인으로 규정하고

악인을 처벌하기위해 남벌을 함(한족의 유교적 정의에 입각하여 악인을 규정한 것임)

 

12월 초하루 신축일, 행정남장군 설진도를 보내 네 장수를 통솔하여 양양으로 출발시키고, 대장군 유창을 의양으로

출발시키고, 서주자사 원연을 종리로 출발시키고 평남장군 유조를 남정으로 출발시켰다.

(十有二月辛丑朔,遣行征南將軍薛真度督四將出襄陽,大將軍劉昶出義陽,徐州刺史元衍出鍾離,平南將軍劉藻出南鄭)

 

계묘일, 내외에 계엄을 명령하였다.(癸卯,詔中外戒嚴)

신해일, 황제가 남벌하였다.(辛亥,車駕南伐)

※ 북위의 고조가 남쪽에 있는 남제를 정벌하러 떠난 것임.(1차 남벌)

 

495년(태화19년)

봄 정월 병신일, 평남장군 왕숙빈이 소란(남제의 5대 황제)의 군대를 깨뜨리고 그 영주자사 동만을 사로잡았다.

(春正月丙申,平南將軍王肅頻破蕭鸞將,擒其寧州刺史董巒)

 

2월 정묘일, (황제가) 사신을 보내 양자강에서 소란(남제의 5대 황제)이 주군을 죽이고 멋대로 제위에 오른

죄악을 꾸짖었다.(二月丁卯,遣使臨江數蕭鸞殺主自立之罪惡)

 

※이후 북위와 남제의 관계가 끊어져서 서로 사신왕래가 없어졌음.

따라서 이후에는 남제가 북위에 조공했다는 기록도, 북위가 남제에 사신을 보냈다는 기록도 없음.

 

497년(태화21년)

11월 갑오일, 소란의 전군장군 한수방、익양태수 왕부지、후군장군 조조열 등 15명의 장수가 투항하였다.

(十有一月甲午,蕭鸞前軍將軍韓秀方、弋陽太守王副之、後軍將軍趙祖悅等十五將來降)

 

정유일, 적군을 면북에서 대파하고 장군 왕복보 등을 포획하였다.(丁酉,大破賊軍於沔北,獲其將軍王伏保等)

 

12월 기묘일, 소란의 장수 왕담분 등 만여명이 남청주의 황곽수를 침구하였으나

수주(황곽수를 지키는 우두머리) 최승연이 격파하고 그 무리를 모두 사로잡았다.

(十有二月己卯,蕭鸞將王曇紛等萬餘人寇南青州黃郭戍,戍主崔僧淵擊破之,悉虜其眾)

 

498년(태화22년)

봄 정월 무자일, (소)란의 호양을 지키는 우두머리 채도복이 성을 버리고 달아났다.

(春正月戊子,鸞湖陽戍主蔡道福棄城遁走)

 

가을 7월 이달에 소란이 죽고 아들 (소)보권이 참람되게 제위에 올랐다.(秋七月 是月,蕭鸞死,子寶卷僭立)

 

9월 기해일, 황제는 소란이 죽었으므로 상중에 정벌하는 것은 예가 아니라고 하여 이에 군대를 돌리라고 명하였다.

(九月己亥,帝以蕭鸞死,禮不伐喪,乃詔反斾)

※ 북위의 고조가 남제에 대한 정벌을 중지 시킨 것임

 

499년(태화23년)

봄 정월 임오일, 소보권(남제의 6대 황제)이 태위 진현달을 보내 형주를 침구하였다

(春正月壬午 蕭寶卷遣太尉陳顯達寇荊州)

 

3월 경진일, 황제가 남벌하였다.(三月庚辰,車駕南伐)

※ 북위의 고조가 다시 남제를 정벌하러 떠난 것임.(2차 남벌)

 

(이후 북위 고조는 병이 심해져 낙양으로 돌아가는 도중 곡당원의 행궁에서 죽었음. 2차 남벌을 떠나기 전에 이미 병이

있었고, 2차 남벌 도중 병사 한 것임)

 

 

2. 세종기(世宗紀)

500년(경명원년)

봄 정월 정미일, 소보권(남제의 6대 황제)의 예주자사 배숙업이 수춘을 들어 내속하니 표기대장군 팽성왕 (원)협이 전차병과 기마병 10만을 거느리고 그곳으로 갔다.

(春正月丁未,蕭寶卷豫州刺史裴叔業以壽春內屬,驃騎大將軍、彭城王勰帥車騎十萬赴之)

 

2월 무술일,팽성왕 (원)협을 다시 사도로 삼았다. (소)보권(남제의 6대 황제)의 장수 호송、이거사가

무리 만여명을 이끌고 완에 주둔하고, 진백지의 수군이 회하를 거슬러 올라가 수춘을 핍박하였다.

(二月戊戌,復以彭城王勰為司徒。寶卷將胡松、李居士率眾萬餘屯宛,陳伯之水軍泝淮而上,以逼壽春)

 

여름 4월 병신일, 팽성왕 (원)협、거기장군 왕숙이 (소보권의 군대를) 대파하고 목을 벤 것이 수만이었다.

(夏四月丙申,彭城王勰、車騎將軍王肅大破之,斬首萬數)

 

가을 7월 (소)보권이 또 진백지를 보내 회하 남쪽을 침구하였다.(秋七月,寶卷又遣陳伯之寇淮南)

 

11월 기해일, 형주자사 환도진이 (소)보권의 하착수를 공격하여 뽑으니(쳐서 빼앗으니) 항복한 자가 2천 여호였다.

(十有一月己亥,荊州刺史桓道進攻寶卷下笮戍,拔之,降者二千餘戶)

 

이해, 이번 겨울에 섬 오랑캐 소연이 동쪽 아래에서 병사를 일으켜 그의 주군 소보권(남제의 6대 황제)을 쳤다.

(是歲,十七州大飢,分遣使者開倉賑恤。是冬,島夷蕭衍起兵東下,伐其主蕭寶卷)

 

501년(경명2년)

3월 이달에 소연이 (소)보권의 아우 남강왕 (소)보융을 주군으로 세우고, 연호를 중흥이라 하며 동쪽에 있는 건업에

알렸다.(三月 是月,蕭衍立寶卷弟南康王寶融為主,年號中興,東赴建業)

☆동쪽 건업에 소보권(남제의 6대 황제)이 황제로 있는 상태에서 서쪽 강릉에서 소보융(남제의 7대 황제)이 또 황제에 오른 것임

 

12월 이달에, (소)보권의 직후, 장제가 그의 주군 (소)보권을 죽이고 소연에게 항복하였으며,

(소)연은 건업을 이겼다.(十二月,是月,寶卷直後張齊殺其主寶卷降蕭衍,衍克建業)

☆소보권이 죽자 소연이 건업에 들어가 궁안에 있는 모든 물건과 권력을 장악하고 건업을 평정한 것임.

 

502년(경명3년)

여름 4월 이달에 소연이 또 그의 주군 (소)보융을 폐하고 참람되게 제위에 올라 자칭 양(나라)라고 하였다.

(夏四月,是月,蕭衍又廢其主寶融而僭立,自稱曰梁)

☆ 양무제 소연이 양나라를 건국한 것임.(남제 멸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