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사연구초

삼한고(前後 三韓考: 단재 신채호) - 15

상 상 2011. 8. 4. 09:35

3. 후삼한 – 삼국지에 보인 신라, 가야, 백제(羅 加 濟) 삼국

 

3.1. 후삼한 고증에 대한 선배 유학자(선유)의 오류

 

한구암(한백겸) 안순암(안정복) 정다산(정약용) 한대연 숙질 등 제선생이 비록 전삼한이 존재한 것을 인정치 못하였으나

진변마(辰弁馬) 삼한을 곧 신라 가라 백제라 하여 최고운(최치원)이 신라 고구려 백제(나여제-羅麗濟) 삼국에 분배한 삼국설을 깨뜨려(劈破)

후삼국의 강역을 정돈한 공은 적지 아니하다.

그러나 그 중에도 후생인 소자(後生小子: 필자 단재선생이 스스로를 가리키는 말)의 교정(校正)을 기다리는(대-待하는)

다소 오류가 없지 않으니, 그 제반 오류가 이하에 열거한 3개(者)의 대 오류에서 원인한 것이다.

 

(가) 참고서의 오류(誤)니,

 

범엽의 후한서의 동이열전은 곧 진수 삼국지의 동이열전을 베낀(초록한) 것(자)이니, 그 실례의 하나를 들어 보인다.

 

삼국지 동옥저전에 '왕기(王頎)가 별도로 군대를 파견하여 궁을 추격, 동쪽 경계의 끝까지 갔다.

그곳에 사는 노인에게, “바다의 동쪽에 또 사람이 살고 있는가?” 하고 물었다.(王頎别遣追討宫盡其東界問其耆老海東復有人否) …

또 말하기를, “바다 가운데에 떠올라 있는 베옷 입은 사람을 건졌는데,(得一布衣從海中浮出) …

두 소매 길이는 3장(丈)이었다(兩袖長三尺) …

그 사람의 목부분에 또 얼굴이 있었다.(一人項中復有面)' 라 한 바,

 

왕기는 조위(曹魏: 조조의 위나라)의 장수요, 궁은 고구려 동천왕의 이름 위궁의 약자인즉,

다 후한 이후의 사람인 까닭에(고로) 왕기 이하 13자를 삭제(산거-刪去)하고

고구려 노인(기로-耆老)이 스스로 말한 것(자언-自言)으로 만들어(작-作)하여 삼국지의 것을 베꼈(초록)다.

이 같은 사적(史蹟) 가치없는 요괴담의 초록이야 우리에게 무슨 상관(하관-何關)이 있으랴마는,

 

베낀 것(초록)뿐이면 오히려 괜찮으나(가하나), 이제 중대한 기록을 고쳐서 편찬(개찬)하여

 

삼국지에는 “준...그의 근신(近臣)과 궁인(宮人)들을 거느리고 도망가 바다를 경유하여 한(韓)의 지역에 거주하면서

스스로 한왕(韓王)이라 칭하였다.

준(準)의 후손은 절멸(絕滅:끊어짐)되었으나, 지금 한인(韓人) 중에는 아직 그의 제사를 받드는 사람이 있다.

(準…將其左右宮人走入海居韓地自號韓王準後絶滅今韓人猶有奉其祭祀者)” 라 하였거늘,

 

후한서에는 “준...자신의 남은 무리 수천명을 거느리고 바다로 도망해서,마한을 공격하여 쳐부수고 스스로 한왕이 되었다.

준의 후손이 절멸(絕滅:끊어짐)되자, 마한 사람이 다시 자립하여 진왕이 되었다.

(準…將其餘衆數千人徒入海攻馬韓破之自立為韓王凖後滅絶馬韓人復自立為辰王)” 이라 하였다.

 

진수(삼국지의 저자), 어환(위략의 저자), 왕침(위서-魏書의 저자) 등은 다 관구검과 같은 시대(동시)의 사람(인-人)으로

검(儉: 관구검)이 가져간 고구려의 기록을 얻어 본(득견-得見) 사람(자)일 것이니,

엽(曄: 범엽- 후한서의 저자)의 고친 편찬(개찬)이 어찌 미친 행동(광거-狂擧)가 아니랴.

 

그런데 선배 유학자(선유)들은 다만 후한이 삼국의 전대인 것만 알고

후한서 저자 범엽이 삼국지의 저자 진수의 후인 것은 미처 생각지 못하였던지,

매번 후한서에 보인 삼한으로 주요 재료를 삼고 삼국지는 도리어 보조로 인용하였다.

--------------------------------------------------------------------

1) 원본출처: 조선사연구초(인터넷 판 - 위키문헌)

http://ko.wikisource.org/wiki/%EC%A1%B0%EC%84%A0%EC%82%AC_%EC%97%B0%EA%B5%AC_%EC%B4%88

 

2) 참고문헌: 조선상고문화사(외), 비봉출판사, 2008년판

 

3) 지금 올리는 ‘전후 삼한고’는 ‘조선사연구초’ 안에 있는 글임

 

* 조선사 연구 초(朝鮮史硏究草), <저자: 신채호>

가. 고사상(古史上) 이두문 명사 해석법

나. 삼국사기(三國史記) 중 동서(東西) 양자(兩字)의 상환(相換) 고증(考證)

다. 삼국지 동이열전 교정

라. 평양 패수고

마. 전후 삼한고(前後 三韓考)

바. 조선역사상 일(一)천년래 제일 대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