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사연구초

삼한고(前後 三韓考: 단재 신채호) - 10

상 상 2011. 7. 30. 11:51

흉노전에 보면,

흉노는 제단 있는 곳을 휴도국(休屠國)이라 하니, 휴두는 곧 수두일 것이요,

 

또한 수림의 제단이므로 한인(漢人)이 이를 룡성(蘢城) -위청전(衛靑傳)-이라 하고

후에 와서 쓰기 편하게 초두를 제거하여 용성(龍城)이라 하였으니

사기 한서 후한서 진서 등에 보인 모든 용성(龍城)이 이것이다.

 

 

흉노도 조선의 민족과 원래 근원이 같거나 그렇지 않다면

태고의 혹 동일한 치하에 있던 시대가 있었던 듯 하다.

 

 

어떤 때는 신수두로서 3조선 전 영토의 명칭을 삼은 까닭에

신지(神誌)의 진단구변국도(震壇九變局圖)가 있음이니,

진단의 진(震)은 신수두의 신의 음이요

진단의 단(壇)은 신수두의 수두의 뜻이다.

 

 

왕검은 왕(王)의 반쪽 뜻을 취하여 “님(님금 중에서 님)”을 취하고

검(儉)의 모든 음 “검(금)”을 취하여 “님금(임금)”으로 읽는 것이다.

 

 

혹 왕(王)자가 이미 님금의 뜻인데 어찌하여 반쪽 뜻만 취하였는가 하겠지만,

 

삼국사기 소지(紹智)의 주(註)에 “한편 비처라고도 쓴다(一作毘處)라 함을 보면

소(炤)가 이미 ‘비치’라는 뜻인데 구태여 지(智)자를 가하여 ‘비치’로 읽음과 같은 것이니,

삼국사기 중에 이와 같은 예를 찾으려면 심히 많으나 번거롭게 열거하지 아니한다.

 

 

조선 1세 건국자의 이름이 “님금”인 고로 역대 제왕의 존칭을 임금이라 한 것이니,

이는 기괴한 중국 주공(周公)의 휘명법(諱名法: 군주의 이름을 직접 말하지 않고 피하는 법)이 수입되기 이전의 일이며,

 

님금은 신단 제사 주관자의 칭호이고, 신한은 정치적 원수의 칭호이나,

이때는 신단 제사 주관자가 곧 정치의 원수가 되는 때인즉

임금이 곧 신한의 직권을 같이 가졌을 것은 물론이다.

 

 

혹은 말이 인도(印度) 범어(梵語)의 스투파(stupa)가 조선에 들어와 수두가 되고

일본에 들어가 소도바가 되고 중국에 들어가 탑(塔)이 되었다 하니,

이것도 일종 참고할 말이 되나,

그러나 한두개의 우연한 일치로써 그 유래를 판명함은 너무 성급한 논의라 할 것이다.

 

 

그리스 역사를 읽으면 중앙에 큰 델피신전(神殿)을 가진 델피 국(國)이 있고,

열국에 각기 작은 델피의 신전이 있었다 하니, 이것이 조선의 신수두와 같지 아니한가.

 

 

페르시아 역사를 읽으면 전국을 통제하는 대왕이 있고

대왕 아래에 여러 소왕(小王)이 있었다 하니,

이것이 삼국시대 태왕의 아래에 각 소왕(小王)이 있음과 같지 아니한가.

 

 

서양 중세 역사에 예수교의 무사단(武士團)에서 부인(婦人)으로서 교사(敎師)를 삼았다 하니,

이것이 신라의 원화(源花)와 같지 아니한가.

 

 

이집트 고대에 태양일(太陽日)의 수인 360여개를 쓰기를 좋아하여 나일강의 본명에도 360여란 의미가 있다 하니,

단군고기의 “농사와 수명, 형벌, 선악을 주관하였으니 무릇 인간의 360가지 일을 주관하였다.

(主穀主命主刑主善惡凡主人間三百六十事)”와 여지승람에 기록된 묘향산 고적의 “삼백육십여궁(三百六十餘宮)”이

또한 그와 같지 아니한가.

 

 

이는 모두 본론의 범위가 아니라 일단 그만두거니와,

역사는 시대와 경우를 따라 성립하는 것이니

비록 번거롭고 자잘한 미신의 기록이지만

 

수두와 신수두의 교의(敎義)에서 나온 3경 5부의 건설된 원인을 알아야

삼조선 옛 역사를 말할 수 있을 것이라, 위와 같이 대강 진술하였다.

-----------------------------------------------------------

1) 원본출처: 조선사연구초(인터넷 판 - 위키문헌)

http://ko.wikisource.org/wiki/%EC%A1%B0%EC%84%A0%EC%82%AC_%EC%97%B0%EA%B5%AC_%EC%B4%88

 

2) 참고문헌: 조선상고문화사(외), 비봉출판사, 2008년판

3) 지금 올리는 ‘전후 삼한고’는 ‘조선사연구초’ 안에 있는 글임

 

 

* 조선사 연구 초(朝鮮史硏究草), <저자: 신채호>

 

가. 고사상(古史上) 이두문 명사 해석법

나. 삼국사기(三國史記) 중 동서(東西) 양자(兩字)의 상환(相換) 고증(考證)

다. 삼국지 동이열전 교정

라. 평양 패수고

마. 전후 삼한고(前後 三韓考)

바. 조선역사상 일(一)천년래 제일 대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