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와 당의 관계-368, 나당전쟁 이후의 당나라-213, 8. 황소의 난-39)
차례
가. 관련 사료
1. 구당서 토번전(상)
2. 구당서 토번전(하)
3. 신당서 토번전
4. 구당서 돌궐전
5. 신당서 돌궐전
6. 구당서 측천본기
7. 신당서 측천본기
8. 구당서 거란전
9. 신당서 거란전
10. 구당서 발해전
11. 신당서 발해전
12. 구당서 숙종본기
13. 구당서 회홀전
14. 신당서 회골전
15. 구당서 남조전
16. 신당서 남조전
17. 구당서 신라전
18. 신당서 신라전
19. 삼국사기 신라본기
나. 나당전쟁 이후의 당나라
1. 이진충의 난 이전
2. 이진충의 난
3. 돌궐족 묵철의 침공
4. 안사의 난
5. 토번의 침공
6. 토번의 침공 이후
7. 민란의 발생과 남조의 침공
8. 황소의 난
9. 절도사의 시대
10. 당의 멸망
다. 통일신라와 당
1. 통일신라 이후의 당나라 약사
2. 신구당서에 의한 통일신라와 당
3.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의한 통일신라와 당
4. 사료를 통합해서 본 통일신라와 당의 관계
나. 나당전쟁 이후의 당나라
8. 황소의 난
1) 연표(자치통감 요약을 기초로 작성)
2) 해설
2) 해설 – 19
◎ 이극용의 공격으로 황소군 붕괴(884년 5월8일)
주전충이 이극용에게 급하다고 알리니 이극용이 충무도감사 전종이와 더불어 허주를 출발하여(5월6일)
중모 북쪽의 왕만도에서 황소군을 대파하여, 1만여를 죽이니 황소군은 드디어 붕괴되었다.(5월8일)
◎ 황소군의 태위 상양 항복(884년 5월8일)
황소의 태위 상양이 감화절도사 시부에게 항복하고, 별장인 이당, 곽존, 갈종주, 장귀패, 장귀후는 선무절도사 주전충에 항복
⇒ 왕만도(王滿渡) 전투(5月8日)
◎ 이극용, 황소군 또 격파(884년 5월9일)
황소는 변주를 넘어 북으로 가는데 이극용이 쫓아가서 봉구에서 또 깨뜨렸다(9일)
밤에 다시 큰 비가 내리니 황소군은 놀라고 두려워서 동쪽으로 도망하였는데 이극용이
이를 쫓아서 조성과 광성을 지났다. 황소가 나머지 무리를 거두니 근 1천 명이었는데 동쪽으로 도망하여 연주로 갔다.(10일)
이극용이 뒤쫓아가서 원구에 이르니 따르는 사람이 부족하여 변주로 돌아가 양식을 구해 다시 추격하여 황소의 어린 아들과 부인 등을 얻음(11일)
한편, 동천절도사 양사립의 난은........
동천유후 고인후가 덕양에 주둔하고 양사립은 녹두관을 점거하고 이를 막았다(5월13일)
◎ 주전충과 이극용, 연회에서 싸움(884년 5월14일)
선무절도사 주전충은 변주성의 연회에서, 술취한 하동절도사 이극용이 무시하자 밤에 습격하여 겨우 탈출케 하였다.(5월14일)
이극용의 부인 유씨의 설득에 군을 이끌고 떠났다.
⇒ 주전충과 이극용, 원수지간 됨
다시 동천절도사 양사립의 난........
동천유후 고인후가 12개 영채를 세워 녹두관을 포위하고 밤에 양사립군의 습격을 격퇴하였다.(5월17일)
황소는..........
감화절도사 시부가 그의 장수 이사열을 파견하여 1만군(軍)을 거느리고 황소를 뒤좇았다(5월20일)
다시 동천절도사 양사립의 난은........
동천유후 고인후가 녹두관 아래에서, 매복으로 양사립 군(軍) 대파하니,
재주로 돌아갔는데 진경선이 군사 3천을 발동하여 고인후에게 보태니 재주를 포위하였다.(5월23일)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일신라와 당의 관계-370, 나당전쟁 이후의 당나라-215, 8. 황소의 난-41) (0) | 2017.12.04 |
---|---|
통일신라와 당의 관계-369, 나당전쟁 이후의 당나라-214, 8. 황소의 난-40) (0) | 2017.12.01 |
통일신라와 당의 관계-367, 나당전쟁 이후의 당나라-212, 8. 황소의 난-38) (0) | 2017.11.22 |
통일신라와 당의 관계-366, 나당전쟁 이후의 당나라-211, 8. 황소의 난-37) (0) | 2017.11.20 |
연해주서 이순신 장군이 파견됐던 山城 발견? (0) | 2017.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