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통일신라와 당의 관계-140, 삼국사기 신라 본기 -29 (45대 신무왕 본기)

상 상 2015. 10. 2. 17:59

통일신라와 당의 관계-140, 삼국사기 신라 본기 -29 (45대 신무왕 본기)

 

차례

 

. 관련 사료

1. 구당서 토번전()

2. 구당서 토번전()

3. 신당서 토번전

4. 구당서 돌궐전

5. 신당서 돌궐전

6. 구당서 측천본기

7. 신당서 측천본기

8. 구당서 거란전

9. 신당서 거란전

10. 구당서 발해전

11. 신당서 발해전

12. 구당서 숙종본기

13. 구당서 회홀전

14. 신당서 회골전

15. 구당서 남조전

16. 신당서 남조전

17. 구당서 신라전

18. 신당서 신라전

19. 삼국사기 신라본기

 

. 나당전쟁 이후의 당나라

1. 이진충의 난 이전

2. 이진충의 난

3. 돌궐족 묵철의 침공

4. 안사의 난

5. 토번의 침공

6. 토번의 침공 이후

7. 민란의 발생과 남조의 침공

8. 황소의 난

9. 절도사의 시대

10. 당의 멸망

 

. 통일신라와 당

1. 통일신라 이후의 당나라 약사

2. 신구당서에 의한 통일신라와 당

3.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의한 통일신라와 당

4. 사료를 통합해서 본 통일신라와 당의 관계

 

 

. 관련 사료

19. 삼국사기 신라본기

 

19. 삼국사기 신라 본기의 출처:

1) 원 출처는 네이트(nate). 그러나 현재 네이트에 있는 삼국사기는 폐쇄되어 찾아볼 수 없음

2) 지금 삼국사기를 볼 수 있는 싸이트는 네이버로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사기

싸이트 주소( http://terms.naver.com/list.nhn?cid=49615&categoryId=49615 )

 

< 삼국사기 신라 45대 신무왕 본기 >

신무왕

 

0 (AD 839) : 신무왕(神武王)이 왕위에 올랐다.

[번역문]

신무왕(神武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우징(祐徵)으로, 원성대왕의 손자 상대등 균정(均貞)의 아들이고 희강왕의 사촌 아우이다. 예징(禮徵) 등이 궁중을 깨끗이 하고 예를 갖추어 그를 맞아 왕위에 오르게 하였다. 할아버지 이찬 예영(禮英) <또는 효진(孝眞)이라고도 하였다.>을 혜강대왕(惠康大王)으로, 죽은 아버지를 성덕대왕(成德大王)으로 추존하였으며, 어머니 박씨 진교부인(眞矯夫人)을 헌목태후(憲穆太后)로 삼고, 아들 경응(慶膺)을 태자로 삼았다. 청해진 대사 궁복을 감의군사(感義軍使)로 봉하고 식읍 2천 호를 봉해 주었다. 이홍(利弘)은 두려워 처·자식을 버리고 산 속으로 도망하였는데, 왕이 기병을 보내 뒤쫓아가 잡아 죽였다.

 

가을 7월에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치청절도사(淄靑節度使)에게 노비를 주었더니, 황제가 그것을 듣고 먼 곳 사람이라 불쌍히 여겨 조칙으로 그들을 본국으로 돌려 보내게 하였다.

왕이 병으로 몸져 누웠는데, 꿈에 이홍이 활을 쏘아 왕의 등을 맞추었다. 잠을 깨어나 보니 등에 종기가 났다. 이 달 23일에 이르러 왕이 죽었다. 시호를 신무(神武)라 하고 제형산(弟兄山) 서북쪽에 장사지냈다.

 

사론(史論): 구양자(歐陽子)가 논하였다.

()나라 환공(桓公)은 은공(隱公)을 죽이고 스스로 왕위에 오른 사람이고 선공(宣公)은 자적(子赤)을 죽이고 스스로 임금이 된 사람이며, ()나라 여공(厲公)은 세자(世子) ()을 쫓아내고 스스로 왕위에 오른 사람이고 위()나라 공손표(公孫剽)는 그의 임금 간()을 내쫓고 스스로 임금이 된 사람이다. 성인(聖人)이 춘추(春秋)에서 그들이 임금이 된 것을 하나도 잘라 내버리지 않은 것은 각각 그 사실을 전하여, 후세 사람들로 하여금 그것을 믿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면 [위의] 네 임금의 죄는 사람들의 귀를 가릴 수 없는 것이 되어, 사람들이 [그런] 악한 짓을 그치기를 바랬던 것이다.

 

신라의 언승(彦昇)은 애장왕을 죽이고 임금 자리에 올랐고, 김명(金明)은 희강왕을 죽이고 왕위에 올랐으며, 우징(祐徵)은 민애왕을 죽이고 왕위에 올랐다.

지금 그 사실을 모두 기록하는 것 또한 춘추(春秋)의 뜻이다.

삼국사기 권 제10

 

[원문]

神武王立 諱祐徵 元聖大王孫均貞上大等之子 僖康王之從弟也 禮徵等旣淸宮禁 備禮迎之卽位 追尊祖伊湌禮英 一云孝眞 爲惠康大王 考爲成德大王 母朴氏眞矯夫人爲憲穆太[주석1]后 立子慶膺爲太子 封淸海鎭大使弓福爲感義軍使 食實封二千戶 利弘懼 棄[주석2]妻子遁山林 王遣騎士 追捕殺之 秋七月 遣使如唐 遺淄靑節度使奴婢 帝聞之 矜遠人 詔令歸國 王寢疾 夢利弘射中背 旣寤瘡發背 至是月二十三日 薨 諡曰[주석3]神武 葬于弟兄山西北

 

論曰 歐陽子之論曰 魯桓公 弑隱公而自立者 宣公 弑子赤而自立者 鄭厲公 逐世子忽而自立者 衛公孫剽 逐其君衎而自立者 聖人於春秋 皆不絶其爲君 各傳其實 而使後世信之 則四君之罪 不可得而掩耳 則人之爲惡 庶乎其息矣羅之彦昇 弑哀莊而卽位 金明 弑僖康而卽位 祐徵 弑閔哀而卽位 今皆書其實 亦春秋之志也

三國史記 卷 第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