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고구려와 중국의 관계-214, 당나라때-38 (10. 신당서 고조본기③)

상 상 2014. 3. 21. 17:25

 

고구려와 중국의 관계-214, 당나라때-38 (10. 신당서 고조본기③)

 

차례

 

1. 구당서 돌궐전

2. 구당서 고조본기

3. 구당서 태종본기(상)

4. 구당서 태종본기(하)

5. 구당서 고종본기(상)

6. 구당서 고종본기(하)

7. 구당서 동이열전

8.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당과의 관련부분)

9. 신당서 돌궐전

10. 신당서 고조본기

11. 신당서 태종본기

12. 신당서 고종본기

13. 신당서 동이열전

14. 신구당서 돌궐전 분석 및 해설

15. 신구당서 고조본기 분석 및 해설

16. 신구당서 태종본기 분석 및 해설

17. 신구당서 고종본기 분석 및 해설

18. 신구당서 동이열전 분석 및 해설

19.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분석 및 해설

20. 고구려와 당나라의 관계

 

 

10. 신당서 권1 고조본기③

1) 원문 출처: 新漢籍全文(http://hanchi.ihp.sinica.edu.tw/ihp/hanji.htm)

※ 원문에 들어가는 방법: 위 홈페이지/ 免費使用/ 史/ 正史/ 新唐書/ 本紀/ 卷一

번 역 문

원 문

617

11월 병진일,서울 성을 쳐서 이겼다. 주부랑 송공필에게 지도와 호적을 거두어들이라고 명하였다. 약법 12조(를선포 하였는데),(그중) 살인、강도、군(軍)을 배반한 자、모반자는 사형이었다. 계해일,수나라 황제를 멀리서 받들어 태상황으로 삼고,대왕을 세워 황제로 삼았다. 대사면령을 내리고,연호를 바꾸어 의녕이라고 하였다. 갑자일,고조가 서울에 들어가,조당에 이르러,대궐을 바라보며 절을 하였다. 수나라 황제가 고조에게 가황월、사지절、대도독내외제군사、대승상、녹상서사(의 벼슬)를 주고,진급시켜 당왕으로 책봉하였다。무덕전을 승상부로 만들고,하교(下教)를 영(令)이라고 하였으며,건화문에서 업무를 살폈다.

十一月丙辰,克京城。命主符郎宋公弼收圖籍。約法十二條,殺人、劫盜、背軍、叛者死。癸亥,遙尊隋帝為太上皇,立代王為皇帝。大赦,改元義寧。甲子,高祖入京師,至朝堂,望闕而拜。隋帝授高祖假黃鉞、使持節、大都督內外諸軍事、大丞相、錄尚書事,進封唐王。以武德殿為丞相府,下教曰令,視事于虔化門。

618

(의녕)2년 정월 정미일,수나라 황제가 조서로 당왕에게 검을 차고 신을 신으며 어전에 오르고,조정에 들어올때 종종걸음을 하지 않으며,천자를 배알할 때 이름을 부르지 않고,앞뒤로 새의 깃으로 장식한 의장용 수레의 일산을 추가하며、(들고 날 때) 음악을 연주하도록 명하였다. 무오일,주조가 항복하였다. 무진일,세자 건성을 좌원수로 삼고,진국공 세민을 우원수로 삼아,동도(낙양) 땅을 빼앗도록 하였다.

二年正月丁未,隋帝詔唐王劍履上殿,入朝不趨,贊拜不名,加前後羽葆、鼓吹。戊午,周洮降。戊辰,世子建成為左元帥,秦國公世民為右元帥,徇地東都。

2월 기묘일,태상경 정원숙이 번과 등을 평정하였고,사자 마원규가 형과 양을 순찰하였다.

二月己卯,太常卿鄭元璹定樊、鄧,使者馬元規徇荊、襄。

3월 기유일,제국공 원길을 태원도행군원수로 삼았다. 을묘일,세민을 조국공으로 옮겨 책봉하였다. 병진일,수나라 우둔위장군 우문화급이 태상황을 강도(江都)에서 시해하고,진왕 (양)호를 세워 황제로 삼았다. 오흥군수 심법흥이 단양을 근거로,자칭 강남도총관이라고 하였다. 낙안 사람 노조상이 광주를 근거로,자칭 자사라고 하였다. 무진일,수나라 황제가 당왕을 상국,총백규의 지위로 진급시키고,구석을 구비하며,당나라에 승상 등의 관리를 설치하고,4묘를 세우게 하였다.

三月己酉,齊國公元吉為太原道行軍元帥。乙卯,世民徙封趙國公。丙辰,隋右屯衞將軍宇文化及弒太上皇于江都,立秦王浩為皇帝。吳興郡守沈法興據丹陽,自稱江南道總管。樂安人盧祖尚據光州,自稱刺史。戊辰,隋帝進唐王位相國,總百揆,備九錫,唐國置丞相等官,立四廟。

4월 기묘일,장장손이 항복하였다.

四月己卯,張長愻降。

5월 을사일,수나라 황제가 당왕에게 면류관에 12개의 끈을 달게 하고,천자의 정기를 세우며,나갈 때에는 경(警)이라 외치고, 들어올 때에는 필(蹕)이라고 외쳐서 길을 맑히게 하였다. 갑인일,왕덕인이 항복하였다. 무오일,수나라 황제가 지위를 양보하니,형부상서 소조、사농소경 배지은이 황제의 도장과 인끈을 당왕에게 바치니,세번 양보하고 받았다.

五月乙巳,隋帝命唐王冕十有二旒,建天子旌旗,出警入蹕。甲寅,王德仁降。戊午,隋帝遜于位,以刑部尚書蕭造、司農少卿裴之隱奉皇帝璽紱於唐王,三讓乃受。

618

무덕원년 5월 갑자일,태극전에서 황제에 즉위하였다. 소조에게 태위를 겸하게 하여,남쪽 교외에서 (황제에 즉위하였음을) 고하도록 명하였으며,대사면령을 내리고,연호를 바꾸었다. 모든 관리와 서민에게 작위 일급씩을 올려 주고,의로운 군대가 지난 곳은 다시 3년 동안 부역이나 조세 따위를 면제해 주었으며. 그 나머지는 다시 1년 동안 부역이나 조세 따위를 면제해 주었다. 군(郡)을 고쳐 주(州)라고 하였으며,태수를 자사라고 하였다. 경오일,태백성이 낮에 보였다. 수나라 동도유수 원문도와 좌무위대장군 왕세충이 월왕 (양)동을 세워 황제로 삼았다.

武德元年五月甲子,即皇帝位于太極殿。命蕭造兼太尉,告于南郊,大赦,改元。賜百官、庶人爵一級,義師所過給復三年,其餘給復一年。改郡為州,太守為刺史。庚午,太白晝見。隋東都留守元文都及左武衞大將軍王世充立越王侗為皇帝。

7월 임자일,유문정이 설거와 경주에서 싸웠으나,패배하였다.

七月壬子,劉文靜及薛舉戰于涇州,敗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