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南에 전화걸어온 北, 견제구 날린 美

상 상 2018. 1. 4. 21:01

출처: 동아일보, 입력 2018-01-04 03:00수정 2018-01-04 03:00

 

김정은, 판문점 연락망 개통 지시

조평통 평창 파견 실무 논의111개월만에 직통전화 재가동

상시 대화 가능회담 급물살통일부 通南通美 이뤄지게 노력

 

북한이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 지시라며 3일 오후 3시 반 판문점 연락채널로 남한에 먼저 전화를 걸어왔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전날 “9일 판문점에서 고위급 남북 당국회담을 열자고 제안한 지 23시간 반 만에 리선권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이 이날 오후 방송에 나와 연락 재개를 선언한 후 나온 조치다. 남북 연락채널이 재가동된 것은 20162월 개성공단 중단 이후 111개월 만이다. 김정은의 신년사 후 남북 관계가 전에 없던 모멘텀을 맞고 있는 모양새다.

 

리 위원장은 이날 조선중앙TV에 나와 “(김정은 위원장이) 평창 올림픽경기대회 대표단 파견 문제를 포함하여 관련한 문제들을 남측과 제때에 연계하도록 315(한국 시간 오후 330)부터 북남 사이에 판문점 연락통로를 개통하는 데 대한 지시를 주셨다고 말했다. 이어 노동당 중앙위원회 통일전선부, 조국평화통일위원회, 국가체육지도위원회를 비롯한 해당 단위들에 남조선 당국과 실무적인 대책들을 시급히 세울 데 대한 구체적인 지시를 주셨다고도 덧붙였다. 이에 따라 남북 판문점 근무자들은 이날 오후 약 20분간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통신망을 점검했다. 이들은 통성명을 하며 통화 음질 등을 살폈다.

 

리 위원장은 “(김 위원장이) 2일 첫 국무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대화에) 적극적인 지지 의사를 표시하시면서 해당 부문에 대한 실무적인 대책들을 세울 것을 지시하였다는 보고를 받으시고, 긍정적으로 높이 평가하시면서 환영의 뜻을 표명했다고도 밝혔다. 북한이 공개적으로 문재인 대통령이라고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정부의 회담 제의 하루 만에 북한이 적극 반응하자 청와대는 반색했다. 윤영찬 대통령국민소통수석비서관은 “(남북) 연락망 복원의 의미가 크다. 상시 대화가 가능한 구조로 가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경남 거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를 방문해 평창 올림픽과 패럴림픽은 한반도의 평화를 알리는 나팔이 될 것이다. 얼음을 뚫고 길을 내는 쇄빙선처럼 위기를 뚫고 평화로 가는 길을 열겠다고 말했다.

 

남북이 연락채널을 재가동하면서 회담 논의는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동아일보에 우리가 제안한 판문점 평화의집뿐만 아니라 북측 통일각, 개성공단, 금강산도 갈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이 개성공단에 가진 어떤 함의가 있겠지만, 그래도 장소에 대해 열린 자세를 밝힌 만큼 수용할 수 있다는 게 기본 입장이라고 밝혔다.


황인찬 hic@donga.com·한상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