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주서(周書) 본기(번역문)

상 상 2013. 7. 8. 17:40

 

고구려와 중국의 관계-125(북주 때①)

 

고구려와 북주와의 관계를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서 먼저 주서(周書) 본기를 살펴보기로 하자.

 

주서(周書) 본기(번역문)

※ 다음은 주서 본기 중에서 우리역사 연구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번역한 것이다.

 

번역문

원문

557

(효민제) 원년(557년) 봄 정월 신축일,(북주 효민제가) 천왕에 즉위하였다. 섶을 태워 제를 지내 하늘에 알리고,백관들을 노문에서 조회하였다.

< 주서 권3 효민제 본기 >

                   --------------------------------------> 북주 건국

元年春正月辛丑,即天王位。

柴燎告天,朝百官於路門

겨울 10월 기묘일,대장군、창평공 위지강을 주국으로 삼았다.

<주서 권4 명제 본기>

冬十月己卯,以大將軍、昌平公尉遲綱為柱國。

12월 경진일,대장군、보성공 (우문)옹을 주국으로 삼았다.

<주서 권4 명제 본기>

十二月庚辰,以大將軍、輔城公邕為柱國。

558

(효민제) 2년 6월 계해일,언달이 사신을 보내 지방물건을 바쳤다.

<주서 권4 명제 본기>

二年六月癸亥,囐噠遣使獻方物。

가을 7월 병신일,순양에서 삼족오(세발 까마귀)를 바쳤다.

<주서 권4 명제 본기>

秋七月丙申,順陽獻三足烏。

9월 신묘일,대장군 양충、대장군 왕웅 모두 주국으로 삼았다.

<주서 권4 명제 본기>

九月辛卯,以大將軍楊忠、大將軍王雄並為柱國。

12월 신유일,돌궐이 사신을 보내 지방물건을 바쳤다.

<주서 권4 명제 본기>

十二月辛酉,突厥遣使獻方物。

559

무성원년 봄 정월 기유일,태사、진공 (우문)호가 표를 올려 정사에 복귀하였으며,황제가 친히 모든 정사를 돌보기 시작하였으나

군대에 관한 일은,(우문)호가 오히려 총괄하였다.

처음으로 모든 주의 군사 도독을 고쳐 총관이라고 하였다.

<주서 권4 명제 본기>

武成元年春正月己酉,太師、晉公護上表歸政,

帝始親覽萬機。軍旅之事,護猶總焉。初改都督諸州軍事為總管。

3월 토욕혼이 변방을 침구하여,경술일에,대사마、박릉공 하란상이 무리를 이끌고 토벌하였다.

<주서 권4 명제 본기>

武成元年 三月吐谷渾寇邊,庚戌,遣大司馬、博陵公賀蘭祥率眾討之。

5월 신해일,대종백、양국공 후막진숭을 대사도,대사구로 삼고、고양공

달해무를 대종백으로 삼고,무양공 두로녕을 대사구로 삼았으며,

주국、보성공 (우문)옹을 대사공으로 삼았다.

을묘일,하란상이 발조양、홍화 두 성을 공격하니,

토욕혼이 도망쳐 달아났다.

<주서 권4 명제 본기>

五月辛亥,以大宗伯、梁國公侯莫陳崇為大司徒,大司寇、高陽公達奚武為大宗伯,武陽公豆盧寧為大司寇,柱國、輔城公邕為大司空。乙卯,賀蘭祥攻拔洮陽、洪和二城,吐谷渾遁走。

윤5월 경신일,고창이 사신을 보매 지방물건을 바쳤다.

<주서 권4 명제 본기>

閏月庚申,高昌遣使獻方物。

가을 8월 기해일,천왕을 고쳐 황제라고 칭하고,문왕을 추존하여 황제라고 하며(서위를 세운 우문태를 문황제라고 했다는 말임),대사면령을 내리고 개원하였다. <주서 권4 명제 본기>

 

             --------------> 북주가 이때부터 황제를 칭하고 연호를 씀

秋八月己亥,改天王稱皇帝,追尊文王為帝,

大赦改元。

9월 을묘일,대장군、천수공 (우문)광을 양주총관으로 삼았다. 신미일,보성공 (우문)옹을 진급시켜 노국공으로 봉하고,안성공 (우문)헌을 제국공으로,진군공 (우문)직을 위국공으로,정평공 (우문)초를 조국공으로 봉하였다. 황제의 동생 (우문)검을 봉하여 초국공으로,(우문)순을 진국공으로,(우문)성을 월국공으로,(우문)달을 대국공으로,(우문)통을 기국공으로,(우문)유를 등국공으로 봉하였다. 천수공 (우문)광을 진급시켜 채국공으로 봉하고,고양공 달해무를 정국공으로,무양공 두로녕을 초국공으로,박릉공 하란상을 양국공으로,영촉공 위지형을 촉국공으로,화정공 우문귀를 허국공으로,진류공 양충을 수국공으로,창평공 위지강을 오국공으로,무위공 왕웅을 용국공으로 봉하였다. 읍은 각 만호이다.

<주서 권4 명제 본기>

九月乙卯,以大將軍、天水公廣為梁州總管。辛未,進封輔城公邕為魯國公,安城公憲為齊國公,秦郡公直為衞國公,正平公招為趙國公。封皇弟儉為譙國公,純為陳國公,盛為越國公,達為代國公,通為冀國公,逌為滕國公。進封天水公廣為蔡國公,高陽公達奚武為鄭國公,武陽公豆盧寧為楚國公,博陵公賀蘭祥為涼國公,寧蜀公尉遲迥為蜀國公,化政公宇文貴為許國公,陳留公楊忠為(隋)〔隨〕國公,昌平公尉遲綱為吳國公,武威公王雄為庸國公。邑各萬戶。

560

고조 무황제의 이름은 (우문)옹이며,자(字)는 예라돌이고,(북주) 태조의 넷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질노태후라고 불렀다.

무성 2년 여름 4월,세종이 죽어,고조에게 조서를 보내 황제 지위에 오를 것을 전하였다. 고조가 굳게 사양하여,모든 관리가 등극하도록 권하니,

이에 따랐다. 임인일,황제에 즉위하고,천하에 대사면령을 내렸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高祖武皇帝諱邕,字禰羅突,太祖第四子也。母曰叱奴太后。武成二年夏四月,世宗崩,遺詔傳帝位於高祖。高祖固讓,百官勸進,乃從之。壬寅,即皇帝位,大赦天下。

561

보정원년 봄 정월 신유일,돌궐이 사신을 보내 지방물건을 바쳤다.

계유일,토용혼、고창 모두 사신을 보내 지방물건을 바쳤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保定元年春正月辛酉,突厥遣使獻其方物。

癸酉,吐谷渾、高昌並遣使獻方物。

2월 을미일,돌궐、탕창 모두 사신을 보내 지방물건을 바쳤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二月乙未,突厥、宕昌並遣使獻方物。

여름 4월 정유일,백란이 사신을 보내 코뿔소 갑옷과 (무)쇠 갑옷을 바쳤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夏四月丁酉,白蘭遣使獻犀甲、鐵鎧。

5월 무진일,돌궐、구자 모두 사신을 보내 지방물건을 바쳤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五月戊辰,突厥、龜茲並遣使獻方物。

6월 을유일,치어정 은불해 등을 진(陳)나라에 사신으로 보냈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六月乙酉,遣治御正殷不害等使於陳。

11월 을사일,진(陳)나라가 사신을 보내 내빙하였다.

(예물을 가지고 -북주- 조정을 방문하였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十一月乙巳,陳遣使來聘。

562

(보정) 2년 봄 정월 정미일,진(陳)나라 군주의 아우 (진)욱(진나라 제4대 황제, 선제)을 주국으로 삼아,강남으로 돌려보냈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保定)二年春正月丁未,以陳主弟頊為柱國,送還江南。

여름 4월 정사일,남양에서 삼족오(세발 까마귀)를 바쳤다.

夏四月丁巳,南陽獻三足烏。

5월 경오일,남양 완현에서 삼족오(세발 까마귀)를 (여러마리) 모아와,

금년 부역과 조세의 반을 감면해 주었다.

임진일,주국 수국공 양충을 대사공으로 삼고,오국공 위지강을 섬주 총관으로 삼았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五月庚午,南陽宛縣三足烏所集,免今年役及租賦之半。壬辰,以柱國隨國公楊忠為大司空,吳國公尉遲綱為陝州總管。

 

9월 무진일 초하루,일식이 있었다.진(陳)나라가 사신을 보내 내빙하였다.(예물을 가지고 -북주의- 조정을 방문하였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九月戊辰朔,日有蝕之。陳遣使來聘。

11월 정묘일,대장군 위국공 (우문)직、대장군 조국공 (우문)초 모두 주국으로 삼았다.

十一月丁卯,以大將軍衞國公直、大將軍趙國公招並為柱國。

12월,익주에서 붉은 까마귀를 바쳤다

十二月,益州獻赤烏。

563

(보정)3년 2월 신축일,위주에서 삼족오(세발 까마귀)를 바쳤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保定)三年二月辛丑,渭州獻三足烏。

3월 병자일,탕창이 사신을 보내 살아있는 맹수 두 마리를 바쳐,

조서로 남산에 풀어주도록 명하였다.

을유일,익주에서 삼족오(세발 까마귀)를 바쳤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三月丙子,宕昌遣使獻生猛獸二,詔放之南山。乙酉,益州獻三足烏。

가을 7월 경오일,진(陳)나라가 사신을 보내 내빙하였다.

(예물을 가지고 - 북주의- 조정을 방문하였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秋七月庚午,陳遣使來聘。

겨울 10월 경술일,진(陳)나라가 사신을 보내 내빙하였다.

(예물을 가지고 - 북주의- 조정을 방문하였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冬十月庚戌,陳遣使來聘。

564

4년 봄 정월 경신일,양충이 (북)제의 장성을 깨뜨려,진양에 다다른 뒤

돌아왔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四年春正月庚申,楊忠破齊長城,至晉陽而還。

5월 정묘일,돌궐이 사신을 보내 지방물건을 바쳤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四年五月丁卯,突厥遣使獻方物。

가을 7월 무오일,속특이 사신을 보내 지방물건을 바쳤다.

무인일,언기가 사신을 보내 명마를 바쳤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秋七月戊午,(栗)〔粟〕特遣使獻方物。戊寅,焉耆遣使獻名馬。

8월 정해일 초하루,일식이 있었다. 조서로 주국 양충으로 하여금 황제의 군대를 이끌고 돌궐과 함께 동쪽(북제)를 정벌하도록 명하였더니

북하에 다다르고 돌아왔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八月丁亥朔,日有蝕之。詔柱國楊忠率師與突厥東伐,至北河而還。

9월 정사일,진(陳)나라가 사신을 보내 내빙하였다.

(예물을 가지고 - 북주의- 조정을 방문하였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九月丁巳,陳遣使來聘。

윤9월 기해일,대장군 위효관、대장군 장손검 모두 주국으로 삼았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閏月己亥,以大將軍韋孝寬、大將軍長孫儉並為柱國。

겨울 10월 계해일,대장군 육통、대장군 우문성、채국공 (우문)광 모두 주국으로 삼았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冬十月癸亥,以大將軍陸通、大將軍宇文盛、蔡國公廣並為柱國。

565

5년 봄 정월 을사일,토욕혼이 사신을 보내 지방물건을 바쳤다.

용국공 왕웅의 세자 개부 (왕)겸을 주국으로 삼았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五年春正月乙巳,吐谷渾遣使獻方物。以庸國公王雄世子開府謙為柱國。

9월 을사일,익주에서 삼족오(세발 까마귀)를 바쳤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九月乙巳,益州獻三足烏。

11월 갑오일,토욕혼이 사신을 보내 지방물건을 바쳤다.

정미일,진(陳)나라가 사신을 보내 내빙하였다.

(예물을 가지고 - 북주의- 조정을 방문하였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十一月甲午,吐谷渾遣使獻方物。

丁未,陳遣使來聘。

566

천화원년 봄 정월 정미일,탕창에 탕주를 설치하였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天和元年春正月丁未,於宕昌置宕州。

여름 4월 기유일,익주에서 삼족오(세발 까마귀)를 바쳤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夏四月己酉,益州獻三足烏。

5월 경진일,토욕혼 용학왕 막창이 주민을 이끌고 내부하여 그 땅을 부주(扶州)로 삼았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五月庚辰,吐谷渾龍涸王莫昌率戶內附,以其地為扶州。

6월 병오일,대장군、포한공 신위를 주국으로 삼았다.

六月丙午,以大將軍、枹罕公辛威為柱國。

567

2년 여름 4월 을사일 대장군、진국공 (우문)순을 주국으로 삼았다.

二年夏四月乙巳以大將軍、陳國公純為柱國。

5월 임신일,돌궐、토욕혼、안식 모두 사신을 보내 지방물건을 바쳤다.

정축일,주국、안무공 이목을 진급시켜 신국공으로 봉하였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二年五月壬申,突厥、吐谷渾、安息並遣使獻方物。丁丑,進封柱國、安武公李穆為申國公。

568

3년 가을 7월 임인일,주국、수국공 양충이 죽었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三年秋七月壬寅,柱國、隨國公楊忠薨。

8월 을축일,(북)제가 화친을 청하여,사신을 보내 내빙하여

(예물을 가지고 - 북주의- 조정을 방문하여),조서로 군사마 육령과 병부 윤공정을 보빙(답방)케 명하였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三年八月乙丑,齊請和親,遣使來聘,詔軍司馬陸逞、兵部尹公正報聘焉。

11월 갑인일,진(陳)나라 안성왕 (진)욱이 그 군주 (진)백종을 폐하고

스스로 즉위하였으니,그가 바로 선제이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十一月甲寅,陳安成王頊廢其主伯宗而自立,是為宣帝。

569

4년 2월 계해일,주국 창녕공 장손검을 하주 총관으로 삼았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四年二月癸亥,以柱國、昌寧公長孫儉為夏州總管。

여름 4월 기사일, (북)제가 사신을 보내 내빙하였다.

(예물을 가지고 - 북주의- 조정을 방문하였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四年夏四月(乙)〔己〕巳,齊遣使來聘。

가을 7월 정사일,돌궐이 사신을 보내 말을 바쳤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秋七月丁巳,突厥遣使獻馬。

570

5년 여름 4월 갑인일,주국 우문성을 대종백으로 삼았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五年夏四月甲寅,以柱國宇文盛為大宗伯。

571

6년 봄 정월 정묘일,대장군 장액공 왕걸、담국공 (우문)회、안문공 전홍、위국공 이휘 등을 모두 주국으로 삼았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六年春正月丁卯,以大將軍張掖公王傑、譚國公會、鴈門公田弘、魏國公李暉等並為柱國。

5월 병인,대장군 당국공 이병、중산공 (우문)훈、기국공 양、

상용공 육등、안의공 우문구、북평공 구소、허국공 우문선、건위공 고림、정국공 달해진、농동공 양찬、상산공 우익 모두 주국으로 삼았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五月丙寅,以大將軍唐國公李昞、中山公訓、杞國公亮、上庸公陸騰、安義公宇文丘、北平公寇紹、許國公宇文善、犍為公高琳、鄭國公達奚震、隴東公楊纂、常山公于翼並為柱國。

6월 을미일,대장군、태원공 왕간을 주국으로 삼았다.

이달에,(북)제의 장군 단효선이 분주를 공격하여 함락되었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六年六月六月乙未,以大將軍、太原公王柬為柱國。是月,齊將段孝先攻陷汾州。

가을 7월 을축일,대장군、월국공 (우문)성을 주국으로 삼았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秋七月乙丑,以大將軍、越國公盛為柱國。

11월 임자일,대장군 양국공 후막진예、대장군 이의 모두 주국으로 삼았다. 병진일,(북)제가 사신을 보내 내빙하였다.

(예물을 가지고 - 북주의- 조정을 방문하였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十一月壬子,以大將軍梁國公侯莫陳芮、大將軍李意並為柱國。丙辰,齊遣使來聘。

572

건덕원년 2월 계유일,대장군、창성공 손심을 돌궐에 사신으로 보냈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建德元年二月癸酉,遣大將軍、昌城公(孫)深使於突厥,

3월 계묘일 초하루,(북)제가 사신을 보내 내빙하였다.

(예물을 가지고 - 북주의- 조정을 방문하였다.)

계해일,태부、촉국공 위지형을 태사로 삼고,주국 등국공 두치를 태부로 삼았으며,대사공、신국공 이목을 태보로 삼고,제국공 (우문)헌을 대총재로 삼고,위국공 (우문)직을 대사도로 삼고,조국공 (우문)초를 대사공으로 삼고,주국 포한공 신위을 대사구로 삼고,수덕공 육통을 대사마로 삼았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三月癸卯朔,齊遣使來聘。

癸亥,以太傅、蜀國公尉遲迥為太師,柱國鄧國公竇熾為太傅,大司空、申國公李穆為太保,齊國公憲為大冢宰,衞國公直為大司徒,趙國公招為大司空,柱國枹罕公辛威為大司寇,綏德公陸通為大司馬。

가을 7월 신축일,진(陳)나라가 사신을 보내 내빙하였다.

(예물을 가지고 - 북주의- 조정을 방문하였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秋七月辛丑,陳遣使來聘。

573

2년 봄 정월 을사일,주국、안문공 전홍을 대사공으로 삼고,

대장군、서국공 약간봉을 주국으로 삼았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二年春正月乙巳,以柱國、鴈門公田弘為大司空,大將軍、徐國公若干鳳為柱國。

윤1월 기사일,진(陳)나라가 사신을 보내 내빙하였다.

(예물을 가지고 - 북주의- 조정을 방문하였다.)

閏月己巳,陳遣使來聘。

9월 을축일,진(陳)나라가 사신을 보내 내빙하였다.

(예물을 가지고 - 북주의- 조정을 방문하였다.)

임오일,황태자 비(妃)로 양씨를 들였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九月乙丑,陳遣使來聘。壬午,納皇太子妃楊氏。

겨울 10월 계묘일,(북)제가 사신을 보내 내빙하였다.

(예물을 가지고 - 북주의- 조정을 방문하였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冬十月癸卯,齊遣使來聘。

574

3년 봄 정월 임술일,주국 제국공 (우문)헌、위국공 (우문)직、

조국공 (우문)초、초국공 (우문)검、진국공 (우문)순、월국공 (우문)성、대국공 (우문)달、등국공 (우문)유 모두 작위를 진급시켜 왕으로 책봉하였다.

경오일,돌궐이 사신을 보내 말을 바쳤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三年春正月壬戌,冊柱國齊國公憲、衞國公直、趙國公招、譙國公儉、陳國公純、越國公盛、代國公達、滕國公逌並進爵為王。庚午,突厥遣使獻馬。

2월 임진일 초하루,일식이 있었다. 정유일,기국공 (우문)강、필국공 (우문)현、풍국공 (우문)정、송국공 (우문)실、한국공 (우문)찬、진국공 (우문)지、조국공 (우문)윤 모두 작위를 진급시켜 왕으로 삼았다.

二月壬辰朔,日有食之。丁酉,紀國公康、畢國公賢、酆國公貞、宋國公實、漢國公贊、秦國公贄、曹國公允並進爵為王。

여름 4월 을묘일,(북)제가 사신을 보내 조문하고 장례에 참석하였다.

(북주 황태후에 대한 조문임)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夏四月乙卯,齊遣使弔贈會葬。

11월 무오일,주국、대사공、상용공 육등을 경주 총관으로 삼았다.

우전이 사신을 보내 명마를 바쳤다.

<주서 권5 무제 본기-상>

十一月戊午,以柱國、大司空、上庸公陸騰為涇州總管。于闐遣使獻名馬。

575

4년 3월 병진일,소사구 회남공 원위와 납언 이루겸을 (북)제에 사신으로 보냈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建德四年三月丙辰,遣小司寇淮南公元(衞)〔偉〕、納言伊婁謙使於齊。

가을 7월 갑술일,진(陳)나라가 사신을 보내 내빙하였다.

(예물을 가지고 - 북주의- 조정을 방문하였다.)

정축일,주국 진왕 (우문)순을 선봉 1군 총관으로,

형양공 사마소난을 선봉 2군 총관으로,정국공 달해진을 선봉 3군 총관으로,월왕 (우문)성을 후 1군 총관으로,주창공 후막진경을 후 2군 총관으로,조왕 (우문)초를 후 3군 총관으로 삼았으며,제왕 (우문)헌이 무리 2만을 이끌고 여양을 향해 달리고,수국공 양견과 광녕후 설회는 수군 3만으로 위수로부터 황하로 들어가고,주국 양국공 후막진예는 무리 1만을 이끌고 태행도를 지키며,신국공 이목은 무리 3만을 거느리고 하양도를 지키고,상산공 우익(于翼)은 무리 2만을 거느리고 (각각, 육지의) 진지(진,陳)와 (강물의) 진지(여,汝)로 나아갔다.

임오일,(황)상이 친히 6군,무리 6만을 이끌고,직접 하음(공격 작전을) 지휘하였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秋七月甲戌,陳遣使來聘。丁丑,以柱國陳王純為前一軍總管,滎陽公司馬消難為前二軍總管,鄭國公達奚震為前三軍總管,越王盛為後一軍總管,周昌公侯莫陳瓊為後二軍總管,趙王招為後三軍總管,齊王憲率眾二萬趣黎陽,隨國公楊堅、廣寧侯薛迴舟師三萬自渭入河,柱國梁國公侯莫陳芮率眾一萬守太行道,申國公李穆帥眾三萬守河陽道,常山公于翼帥眾二萬出陳、汝。壬午,上親率六軍,眾六萬,直指河陰。

8월 계묘일,(북)주(와의) 경계에 들어갔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八月癸卯,入于齊境。

12월 병자일,진(陳)나라가 사신을 보내 내빙하였다.

(예물을 가지고 - 북주의- 조정을 방문하였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十二月丙子,陳遣使來聘。

 

576

5년 2월 신유일,황태자 (우문)윤을 보내 서쪽 영토를 돌게 하고, 이에 토욕혼을 토벌하여 군사에 관한 일을 절도(있게 하고) 아울러 마땅히 임기응변에 따라 일을 전결하도록 하였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五年二月辛酉,遣皇太子贇巡撫西土,仍討吐谷渾,戎事節度,並宜隨機專決。

8월 무신일,황태자가 토욕혼을 정벌하여,복사성에 다달았다가 돌아왔다. 을묘일,운양궁으로부터 (출발하였다가) 도착하였다. 을축일,진(陳)나라가 사신을 보내 내빙하였다.(예물을 가지고 - 북주의- 조정을 방문하였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八月戊申,皇太子伐吐谷渾,至伏俟城而還。乙卯,至自雲陽宮。乙丑,陳遣使來聘。

겨울 10월 기유일,(황)제가 군사를 총 동원하여 동쪽을 정벌하였다(북제 정벌). 월왕 (우문)성을 오른쪽 1군 총관으로,기국공 (우문)량을 오른쪽 2군 총관으로,수국공 양견을오른쪽 3군 총관으로,초왕 (우문)검을 왼쪽 1군 총관으로,대장군 두공을 왼쪽 2군 총관으로,광화공 구숭을 왼쪽 3군 총관으로 삼고,제왕 (우문)헌과 진왕 (우문)순을 선봉(전군, 前軍)으로 삼았다. 경술일,형혹(별자리)이 태미상장(별자리)을 범하였다. 무오일,세성이 태릉(별자리)을 범하였다。계해일,(황)제가 진주에 도착하여,제왕 (우문)헌을 보내 정예 기마병 2만을 이끌고 작서곡을 지키게 하고,진왕 (우문)순을 보내 보뱡과 기병 2만을 이끌고 천리경을 지키게 하며,정국공 달해진을 보내 보병과 기병 1만을 거느리고 수통군천을 지키게 하며,대장군 한명을 보내 보병과 기병 5천을 거느리고 제자령을 지키게 하며,오씨공 윤승을 보내 보병과 기병 5천을 거느리고 고종진을 지키게 하며,양성공 신소를 보내 보병과 기병 5천을 이끌고 포진관을 지키게 하며,주국、조왕 (우문)초를 보내 보병과 기병 1만을 이끌고 화곡에서부터 (북)제 분주 여러 성을 공격케 하고,주국 우문성을 보내 보병과 기병 1만을 이끌고 분수관을 지키게 하였다. 내사 왕의를 보내 6군을 감독하여,진주성을 공격케 하였다. (황)제는 분곡에 주둔하였다. 제왕 (우문)헌이 홍동、영안 두 성을 공격하여,모두 빼앗았다. 그날 밤,무지개가 진주성 위에서 발견되었는데,머리는 남쪽을 향하였고,꼬리는 자미궁으로 들어갔으며,길이는 10여 장이었다.(황)제가 매일 분곡에서 (진주)성 아래로 나아가,친히 싸움을 독려하니,(진주)성 안에서는 몹시 두려워하였다.

경오일,(북)제의 행대좌승 후자흠이 나와 항복하였다.

임신일,(북)제의 진주자사 최경숭이 성북쪽을 지켰는데,

밤에 몰래 사신을 보내 (항복) 문서를 보내니,상개부 왕궤가 무리를 이끌고 (호)응하였다. 날이 아직 밝지 않았을때 ,성에 올라 북을 시끄럽게 치니,(북)제의 무리가 무너져,드디어 진주를 빼앗았다. 그 성주 특진、개부、해창왕 위상귀를 생포하고,병사 팔천명을 사로잡아,관중(장안)으로 보냈다. 갑술일,상개부 양사언을 진주자사로 삼고,대장군을 덧붙였으며,정병 1만을 머물게 하여 지키게 하였다。또 여러 군사를 보내 (북)제의 여러 성과 진을 돌게하니,모두 서로 항복문서를 차례대로 바쳤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冬十月己酉,帝總戎東伐。以越王盛為右一軍總管,杞國公亮為右二軍總管,隨國公楊堅為右三軍總管,譙王儉為左一軍總管,大將軍竇(泰)〔恭〕為左二軍總管,廣化公丘崇為左三軍總管,齊王憲、陳王純為前軍。庚戌,熒惑犯太微上將。戊午,歲星犯太陵。癸亥,帝至晉州,遣齊王憲率精騎二萬守雀鼠谷,陳王純步騎二萬守千里徑,鄭國公達奚震步騎一萬守統軍川,大將軍韓明步騎五千守齊子嶺,(焉)〔烏〕氏公尹昇步騎五千守(鍾)鼓〔鍾〕鎮,涼城公辛韶步騎五千守蒲津關,柱國、趙王招步騎一萬自華谷攻齊汾州諸城,柱國宇文盛步騎一萬守汾水關。遣內史王誼監六軍,攻晉州城。帝屯於汾曲。齊王憲攻洪洞、永安二城,並拔之。是夜,虹見於晉州城上,首向南,尾入紫微宮,長十餘丈。帝每日自汾曲赴城下,親督戰,城中惶窘。庚午,齊行臺左丞侯子欽出降。壬申,齊晉州刺史崔景嵩守城北面,夜密遣使送款,上開府王軌率眾應之。未明,登城鼓噪,齊眾潰,遂克晉州,擒其城主特進、開府、海昌王尉相貴,俘甲士八千人,送關中。甲戌,以上開府梁士彥為晉州刺史,加授大將軍,留精兵一萬以鎮之。又遣諸軍徇齊諸城鎮,並相次降款。

11월 기묘일,(북)제의 군주가 병주로부터 무리를 이끌고 구원하러 왔다. (황)제는 그 병사가 새로 모집하였으므로 잠시 피하였다가,비로소 조서로 모든 군대에게 후퇴를 명하고,제왕 (우문)헌을 보내 후방을 막도록 하였다. 그날,(북)제의 군주가 진주에 도착하였는데,(우문)헌이 그들과 싸우지 않으니,군사를 이끌어 분수(황하로 흘러들어가는 작은 강)를 건넜다. (북)제의 군주가 마침내 진주를 포위하고,밤낮으로 공격하였다. 제왕 (우문)헌은 모든 군대를 속수(황하로 흘러들어가는 작은 강)에 주둔시키고,진주를 성원하였다(소리를 질러 응원하였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十一月己卯,齊主自幷州率眾來援。帝以其兵新集,且避之,乃詔諸軍班師,遣齊王憲為後拒。是日,齊主至晉州,憲不與戰,引軍度汾。齊主遂圍晉州,晝夜攻之。齊王憲屯諸軍於涑水,為晉州聲援。

12월 무신일(4일),(북제의 군주가 다음 행선지로) 진주에 도착하였다. 애초에,(북)제가 진주를 공격할 때,황제 군대가 갑자기 도착할까 두려워,성 남쪽에 구덩이를 파서,교산으로부터 분수(황하로 흘러들어가는 작은 강)까지 이어 놓았다.

 

경술일(6일),(황)제가 여러 군대 8만명을 거느리고,진을 동서 2십여리에 설치하였다. (황)제는 늘 타던 말을 타고,여러명을 따르게 하고 진지를 순시하며 (일을) 처분하였는데,이르는 곳마다 번번히 주장의 이름을 부르며 위로하고 격려하였다. 장수와 병사는 인정받는 은혜에 감격하여,각자 분발할 것을 생각하였다. 머지않아 전투가 벌어지게 되자,담당관원(유사,有司)이 말을 바꾸기를 청하였다. (황)제가 말하기를:「짐 혼자 좋은 말을 타고 어디에 가려고 하겠는가?」라고 하였다. (북)제의 군주 역시 구덩이 북쪽에 열을 지어 진을 쳤다.

신시(오후 5시)가 지난 뒤,(북)제 사람들이 구덩이를 메꾸어 남쪽으로 (군대를) 이끌었다. (황)제가 크게 기뻐하며,모든 군대를 정돈하여 공격하니,(북)제 사람들이 쉽게 후퇴하였다. (그러자) (북)제의 군주와 그 휘하 수십 기(騎)가 병주로 되돌아 달아났다. (북)제 무리는 크게 무너져,군수 물자와 병기가,수백리 어간에,버려져 산같이 쌓였다.

 

신해일(7일),(황)제가 진주에 행차하여,이에 여러 군대를 인솔하고 (북)제의 군주를 추격하였다. 여러 장수들이 군대를 돌리자고 굳게 청하였는데,(황)제가 말하기를:「적을 놓아 주면 우환이 생긴다. 경 등이 만약 의심하면,짐이 혼자 가겠다.」라고 하니 여러 장수들이 감히 말을 못하였다.

갑인일,(북)제의 군주가 그 승상 고아나굉을 보내 고벽을 지켰다. (황)제가 군을 지휘하여 곧바로 나아가니,(고아)나굉이 풍문을 듣고 흩어져 달아났다.

 

병진일(12일),황제의 군대가 다음으로 개휴에 도착하니,(북)제의 장수 한건업이 성을 들어 항복해서,상주국으로 삼고,순국공으로 봉하였다.

 

정사일(13일),대군이 그 다음으로 병주에 도착하니,(북)제의 주군이 그 사촌 형 안덕왕 (고)연종을 머물러 병주를 지키게 하고,자기 스스로는 가볍게 무장한 기병으로 업(북제의 수도)으로 달아나려고 하였다.

 

병인일(22일),(북)제의 궁 안에 있는 금, 은, 보물, 구슬, 비취 아름다운 의복과 궁녀 2천명을 꺼내어,장수와 병사에게 나누어주었다. 주국 조왕 (우문)초、진왕 (우문)순、월왕 (우문)성、기국공 (우문)량、양국공 후막진예、용국공 왕겸、북평공 구소、정국공 달해진 모두 상주국으로 삼았다. 제왕 (우문)헌의 아들 안성군 (우문)공질을 하간왕으로 봉하고,대장군 광화공 구숭을 노국공으로,신수공 희원을

원국공으로,광업공 위지운을 노국공으로 봉하였다.

공이 있는 모든 자는 각각 차등있게 (책)봉을 받았다.

 

계유일(29일),(황)제가 6군을 인솔하고 업(북제의 수도)으로 달려갔다.

상주국、진왕 (우문)순을 병주총관으로 삼았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十二月戊申,次於 。初,齊攻晉州,恐王師卒至,於城南穿塹,自喬山屬於汾水。庚戌,帝帥諸軍八萬人,置陣東西二十餘里。帝乘常御馬,從數人巡陣處分,所至輒呼主帥姓名以慰勉之。將士感見知之恩,各思自厲。將戰,有司請換馬。帝曰:「朕獨乘良馬何所之?」齊主亦於塹北列陣。申後,齊人填塹南引。帝大喜,勒諸軍擊之,齊人便退。齊主與其麾下數十騎走還幷州。齊眾大潰,軍資甲仗,數百里間,委棄山積。

辛亥,帝幸晉州,仍率諸軍追齊主。諸將固請還師,帝曰:「縱敵患生。卿等若疑,朕將獨往。」諸將不敢言。甲寅,齊主遣其丞相高阿那肱守高壁。帝麾軍直進,那肱望風退散。丙辰,師次介休,齊將韓建業舉城降,以為上柱國,封郇國公。丁巳,大軍次幷州,齊主留其從兄安德王延宗守幷州,自將輕騎走鄴。

 

丙寅,出齊宮中金銀寶器珠翠麗服及宮女二千人,班賜將士。以柱國趙王招、陳王純、越王盛、杞國公亮、梁國公侯莫陳芮、庸國公王謙、北平公寇紹、鄭國公達奚震並為上柱國。封齊王憲子安城郡公質為河間王,大將軍廣化公丘崇為潞國公,神水公姬願為原國公,廣業公尉遲運為盧國公。諸有功者,封授各有差。癸酉,帝率六軍趣鄴。以上柱國、陳王純為幷州總管。

577

6년 봄 정월 을해일,(북)제의 군주가 그 태자 (고)긍에게 전위하고,연호를 승광으로 고치며,자기 스스로 태상황이라고 불렀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六年春正月乙亥,齊主傳位於其太子恆,改年承光,自號為太上皇。

(정월) 임진일(18일),(황)제가 업(북제의 수도)에 도착하였다. (북)제의 주군은 먼저 성 밖에 참호를 파고 목책을 세웠다.

계사일(19일),(황)제가 여러 군대를 인솔하여 포위하니,(북)제 사람들이 막아 지켰으나,모든 군대가 용기를 내어 쳐서, 대파하고,마침내 업(북제의 수도)를 평정하였다. (북)제의 군주는 먼저 그 어머니와 처자를 청주로 보내고,성이 함락되자,이에 수십 기마병을 이끌고 청주로 달아났다. 대장군 위지근을 보내 2천 기병을 이끌고 추격하였다.

 

갑오일(20일),(황)제가 업성에 들어갔다. (북)제의 임성왕 (고)개는 먼저 기주에 있었는데,(북)제의 군주가 황하에 도착하자,그 시중 곡률효경을 파견하여 전국새를 (고)개에게 선위하도록 보냈다. (곡률)효경이 아직 도달하지 않았는데,잡혀서 업(북제의 수도)으로 보내졌다.

(북)제의 개부、낙주자사 독고영업을 응국공으로 봉하였다.

 

병신일(22일),상주국、월왕 (우문)성을 상주총관으로 삼았다.

기해일(25일),위지근이 (북)제의 군주와 그 태자 (고)긍을 청주에서 생포하였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 북제 멸망

壬辰,帝至鄴。齊主先於城外掘壍豎柵。癸巳,帝率諸軍圍之,齊人拒守,諸軍奮擊,大破之,遂平鄴。齊主先送其母并妻子於青州,及城陷,乃率數十騎走青州。遣大將軍尉遲勤率二千騎追之。

 

甲午,帝入鄴城。齊任城王湝先在冀州,齊主至河,遣其侍中斛律孝卿送傳國璽禪位於湝。孝卿未達,被執送鄴。詔去年大赦班宣未及之處,皆從赦例。封齊開府、洛州刺史獨孤永業為應國公。丙申,以上柱國、越王盛為相州總管。己亥,尉遲勤擒齊主及其太子恆於青州。

2월 병오일,모든 군사의 공훈을 논의하고 정하여,(북)제의 태극전에 주연을 설치하고,장수과 관리 이상을 모아,차등있게 나누어 주었다.

정미일,(북)제의 주군이 도착하니,(황)제가 스스로 동쪽 섬돌로 내려가,손님과 주인의 예로써 서로 만나보았다.

(북제의 임성왕) 고개가 기주 옹병에 있어 아직 떨어지지 않아,상주국、제왕 (우문)헌과 주국、수공양견을 보내 군대를 이끌고 토벌하여 평정하였다. (북)제의 정주자사、범양왕 고소의가 반란을 일으키며 돌궐로 들어갔다.

(북)제의 모든 행대(行臺), 주(州), 진(鎮)이 다 항복하여,

관동(함곡관 이동-북제)을 평정하였다.

합한 것이 주(州) 55개,군(郡) 1백6십2개,현(縣) 3백8십5개,호(戶: 집) 3백3십만2천5백2십8채,구(口: 인구) 2천만6천8百86명 이다. 이에 하양、유(주)、청(주)、남연(주)、예(주)、서(주)、북삭(주)、정(주) 모두 총관부를 설치하고,상(주)와 병(주) 2총관에는 각각 궁과 6관부를 설치하였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二月丙午,論定諸軍功勳,置酒於齊太極殿,會軍士以上,班賜有差。丁未,齊主至,帝降自阼階,以賓主之禮相見。高湝在冀州擁兵未下,遣上柱國、齊王憲與柱國、隨公楊堅率軍討平之。齊定州刺史、范陽王高紹義叛入突厥。齊諸行臺州鎮悉降,關東平。合州五十五,郡一百六十二,縣三百八十五,戶三百三十萬二千五百二十八,口二千萬六千(六)〔八〕百八十六。乃於河陽、幽、青、南兗、豫、徐、北朔、定並置總管府,相、并二總管各置宮及六府官。

여름 4월 을사일,동쪽 정벌로부터 (장안에) 도착하였다.

(북)제의 군주를 앞에 두고,그 왕공 등은 모두 뒤에,수레 가마 깃발과 기물을 그 뒤에 늘어놓았다. 큰 수레와 6군을 펼치고,개선 음악을 연주하며,포로를 태묘에 바쳤다.

서울에서 (이를) 본 사람들은 모두 만세를 불렀다.

무신일,(북)제의 군주를 온국공에 (책)봉하였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夏四月乙巳,至自東伐。列齊主於前,其王公等並從,車轝旗幟及器物以次陳於其後。大駕布六軍,備凱樂,獻俘於太廟。京邑觀者皆稱萬歲。戊申,封齊主為溫國公。

5월 정축일,주국、초왕 (우문)검을 대총재로 삼았다.

경진일,상주국 기국공 (우문)량을 대사도로,정국공 달해진을 대종백으로,양국공 후막진예를 대사마로,주국 응국공 독고영업을 대사구로,운국공 위효관을 대사공으로 삼았다.

경자일,진(陳)나라가 사신을 보내 내빙하였다.(예물을 가지고 - 북주의- 조정을 방문하였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五月丁丑,以柱國、譙王儉為大冢宰。庚辰,以上柱國杞國公亮為大司徒,鄭國公達奚震為大宗伯,梁國公侯莫陳芮為大司馬,柱國應國公獨孤永業為大司寇,鄖國公韋孝寬為大司空。庚子,陳遣使來聘。

9월 임신일,주국 등국공 두치、신국공 이목 모두 상주국으로 삼았다. 계묘일,상대장군、상황공 왕궤를 담국공으로 봉하였다. 토욕혼이 사신을 보내 지방물건을 바쳤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九月壬申,以柱國鄧國公竇熾、申國公李穆並為上柱國。癸卯,封上大將軍、上黃公王軌為郯國公。吐谷渾遣使獻方物。

11월 경오일,백제가 사신을 보내 지방물건을 바쳤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十一月庚午,百濟遣使獻方物。

12 무오일,토욕혼이 사신을 보내 지방물건을 바쳤다.

정묘일,주국、수국공 양견을 남연주 총관으로 삼고,

상주국、신국공 이목을 병주 총관으로 삼았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十二月戊午,吐谷渾遣使獻方物。丁卯,以柱國、隨國公楊堅為南兗州總管,上柱國、申國公李穆為幷州總管。

578

선정원년 봄 정월 계유일,토욕혼의 (거짓) 조(나라) 왕 타루둔이 투항해 왔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宣政元年春正月癸酉,吐谷渾偽趙王他婁屯來降。

3월 무진일,포주에 궁을 설치하였다. 동주와 장춘 두 궁을 폐지하였다. 임신일,돌궐이 사신을 보내 지방물건을 바쳤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三月戊辰,於蒲州置宮。廢同州及長春二宮。壬申,突厥遣使獻方物。

여름 4월 경신일,돌궐이 유주를 침략하여,관리와 백성을 죽이고 노략질 하였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夏四月庚申,突厥入寇幽州,殺掠吏民。

5월 기축일,(황)제가 군대를 거느리고 북벌하였다.(돌궐을 친 것임) 주국 원공 희원과 동평공 우문신거 등을 보내 군사를 이끌고,다섯개의 길로 함께 들어갔다. 관중(장안 지방)의 모든 당나귀와 말을 징발하여,모두 다 종군 시켰다.

계사일,(황)제의 앞날을 예측할 수 없어(황제가 위급하여),운양궁에서 멈추었다. 병신일,조서로 모든 군사의 일을 정지시켰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五月己丑,帝總戎北伐。遣柱國原公姬願、東平公宇文神舉等率軍,五道俱入。發關中公私驢馬,悉從軍。癸巳,帝不豫,止于雲陽宮。丙申,詔停諸軍事。

6월 정유일,(황)제의 질병이 심하여,서울로 되돌아왔다.

그날 밤,승여(수레)에서 죽었다. 그때 나이 36세였다.

<주서 권6 무제 본기-하>

六月丁酉,帝疾甚,還京。其夜,崩於乘輿。時年三十六。

윤6월 을해일,비(妃) 양씨를 세워 황후로 하였다.

신사일,상주국 조왕 (우문)초를 태사로 삼고,진왕 (우문)순을 태부로,주국 대왕(代王) (우문)달﹑ 등왕 (우문)유、

노국공 위지운、설국공 장손람 모두 상주국으로 삼았다.

주국、평양군공 왕의를 진급시켜 양국공으로 봉하였다.

<주서 권7 선제 본기>

閏月乙亥,立妃楊氏為皇后。辛巳,以上柱國趙王招為太師,陳王純為太傅,柱國代王達﹑滕王逌、盧國公尉遲運、薛國公長孫覽竝為上柱國。進封柱國、平陽郡公王誼為揚國公。

가을 7월 임술일,주국、남연주 총관、수공 양견을 상주국、대사마로 삼았다. <주서 권7 선제 본기>

秋七月壬戌,以柱國、南兗州總管、隨公楊堅為上柱國、大司馬。

8월 임신일,대사도、기국공 (우문)량을 안주 총관으로 삼고,상주국、설국공 장손람을 대사도로,주국、양국공 왕의를 대사공으로 삼았다。경진일,태백(성)이 태미(성)에 들어갔다. 병술일,주국、영창공 (우문)춘을 대사구로 삼았다. <주서 권7 선제 본기>

八月壬申,以大司徒、杞國公亮為安州總管,上柱國、薛國公長孫覽為大司徒,柱國、揚國公王誼為大司空。庚辰,太白入太微。丙戌,以柱國、永昌公椿為大司寇。

겨울 10월 무자일,백제가 사신을 보내 지방물건을 바쳤다.

<주서 권7 선제 본기>

冬十月戊子,百濟遣使獻方物。

579

대상원년 봄 정월 계사일,처음 4보관을 설치하여,상주국 대총재 월왕 성을 대전의로 삼고,상주총관 촉국공 위지형을 대우필로 삼고,신국공 이목을 대좌보로 삼고,대사마 수국공 양견을 대후승으로 삼았다.

<주서 권7 선제 본기>

大象元年春正月癸巳,初置四輔官,以上柱國大冢宰越王盛為大前疑,相州總管蜀國公尉遲迥為大右弼,申國公李穆為大左輔,大司馬隨國公楊堅為大後丞。

가을 7월 경인일, 대사공、필왕 (우문)현을 옹주목으로 삼고,대후승、수국공 양견을 대전의로 삼고,주국、형양공 사마소난을 대후승으로 삼았다. <주서 권7 선제 본기>

秋七月庚寅,以大司空、畢王賢為雍州牧,大後丞、隨國公楊堅為大前疑,柱國、滎陽公司馬消難為大後丞。

580

2년 2월 무오일,돌궐이 사신을 보내 지방물건을 바쳤으며,또한 천금공주를 맞이하였다.

<주서 권7 선제 본기>

大象二年二月戊午,突厥遣使獻方物,且逆千金公主。

5월 기축일,상주국、대전의、수국공 양견을 양주총관으로 삼았다. 을미일,(황)제의 (앞날을) 예측할 수 없어(위태로워),환궁하였다. 조서로 수국공 (양)견을 들어오게 하여 질(병)을 돌보게 하였다. 정미일,추가로 조、진、월、대、등 다섯 왕을 조정에 들어오게 하였다. 기유일,(황제가) 위독하였다. 어정하대부 유방과 내사상 대부 정역이 황제의 명령이라고 거짓으로 꾸민 명령을 내려,수국공 (양)견에게 유조로 섭정(보정)을 맡게 하였다. 그날,(황)제가 천덕전에서 죽었다. 그때 연세가 22세였으며 시호를 선황제라고 하였다. <주서 권7 선제 본기>

五月己丑,以上柱國、大前疑、隨國公楊堅為揚州總管。乙未,帝不豫,還宮。詔隨國公堅入侍疾。甲辰,有星大如三斗,出太微端門,流入翼,聲若風鼓幡旗。丁未,追趙、陳、越、代、滕五王入朝。己酉,大漸。御正下大夫劉昉,與內史上大夫鄭譯矯制,以隨國公堅受遺輔政。是日,帝崩於天德殿。時年二十二,諡曰宣皇帝。

경술일,주국、한왕 찬을 상주국、우대승상으로 삼고,상주국、양주총관、수국공 양견을 가황월、좌대승상으로 삼고,주국、진왕 지를 상주국으로 삼았다. 황제는 양암(상중에 머무는 방)에 거주하였고,백관 모두 이미 좌대승상(의 말을) 듣게 되었다. <주서 권8 정제 본기>

庚戌,柱國、漢王贊為上柱國、右大丞相,上柱國、揚州總管、隨國公楊堅為假黃鉞、左大丞相,柱國、秦王贄為上柱國。帝居諒闇,百官總己以聽於左大丞相。

가을 7월 갑신일,돌궐이 (북)제의 범양왕 고소의를 송환하였다.(돌려보내 주었다) 정미일,수공 양견을 도독 내외 제군사로 삼았다.

<주서 권8 정제 본기>

秋七月甲申,突厥送齊范陽王高紹義。丁未,隨公楊堅為都督內外諸軍事。

9월 임자일,승상 좌우의 이름을 없애고 수공 양견을 대승상으로 삼았다.

<주서 권8 정제 본기>

九月壬子,丞相去左右之號,隨公楊堅為大丞相。

겨울 10월 임술일, 대승상、수국공 양견에게 대총재, 오부 총어천관을 더하였다. <주서 권8 정제 본기>

冬十月壬戌,大丞相、隨國公楊堅加大冢宰,五府總於天官。

12월 갑자일,대승상、수국공 양견의 작위를 올려 왕으로 하고 10개 군(郡)으로 나라를 삼았다. <주서 권8 정제 본기>

十二月甲子,大丞相、隨國公楊堅進爵為王,以十郡為國。

581

대정원년 2월 경신일, 대승상、수왕 양견을 상국,총백규로 삼고,다시 10개 군(郡)을 봉하여,(나라를) 앞에 것과 통합하여 20개 군(郡)으로 하고, 칼을 차고 신발을 신고 어전에 오르며,입조할 때 종종걸음하지 않으며,천자를 배알할 때 이름을 부르지 않고,구석의 예를 구비하고,(옥)새와 도끼와 원유관 그리고 조개풀로 물들인 인끈을 한 상국 도장을 더하며,모든 왕의 윗자리에 두게 하였다. 또 면류관에 12개의 구슬을 더하며,천자의 정기를 세우고,출입할 때 행인을 금하고 도로를 치워 경계하게 하며, 금근거(金根車)를 타고,(어)가는 6마리 말이 끌고,계절에 따라 색을 달리하는 수행수레를 준비하며,황제의 의장행렬 선두에 세우던 소꼬리 털로 장식한 깃발, 구름 깃발을 설치하고,음악과 춤은 8명× 8명으로 하고,궁에는 종과 현악기를 설치하였다. 왕후와 왕자의 작위명 칭호는,모두 위나라와 진나라의 옛일에 의하였다.(위진 고사,故事에 의하였다)

 

갑자일,수왕 양견이 존호(황제)를 칭하였다,황제는 별궁으로 물러났다

수씨(수나라)는 (황)제를 개국공으로 받들고,(봉)읍을 만호로 하며,수레 의복 예절 음악 일체를 (북)주의 제도와 같게 하였으며, 상서를 표라고 하지 않고 답표를 조(서)라고 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 글이 있을 뿐이고 일은 끝났으며 행하지 않았다.

개황원년 5월 임신일,(황제가) 죽었는데 그때 나이 9세였으며 수(나라)의 뜻이었다. 시호를 정황제라고 하고,공릉에 장사 지냈다.

<주서 권8 정제 본기>

                   --------------------------------------> 북주 멸망

大定元年二月庚申,大丞相、隨王楊堅為相國,總百揆,更封十郡,通前二十郡,劍履上殿,入朝不趨,贊拜不名,備九錫之禮,加璽、鉞、遠遊冠,相國印綠綟綬,位在諸王上。又加冕十有二旒,建天子旌旗,出警入蹕,乘金根車,駕六馬,備五時副車,置旄頭雲罕,樂舞八佾,設鍾宮懸。王后、王子爵命之號,竝依魏晉故事。甲子,隨王楊堅稱尊號,帝遜于別宮。

隋氏奉帝為介國公,邑萬戶,車服禮樂一如周制,上書不為表,答表不稱詔。有其文,事竟不行。開皇元年五月壬申,崩,時年九歲,隋志也。諡曰靜皇帝,葬恭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