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머리말·일러두기 _4
■ 제1부 코로나 시대의 세계경제
제1장 코로나 사태를 맞이한 세계
1. 제1차 코로나 사태 _14
1) 코로나19의 감염 시작과 세계적 대유행 _14
2) 경제적 대응 _16
3) 경제상태 _22
4) 돈의 흐름과 그 효과 _30
2. 제2차 코로나 사태 _30
1) 시기 _30
2) 코로나19 상황 _30
3) 경제상황 _37
4) 돈의 흐름과 그 효과 _38
3. 제3차 코로나 사태 _38
1) 시기 _38
2) 코로나19 상황 _38
3) 경제상황 _41
4) 돈의 흐름과 그 효과 _41
4. 코로나 사태의 경제적 파장 _42
1) 타격받은 실물경제 _42
2) 초대규모로 급격하게 불어난 통화 _43
3) 실물경제와 급증한 통화의 괴리 _48
4) 달러 가치의 급등 후 지속적 하락 _50
5) 부채 급증 _51
6) 신흥국에서 자금 탈출 _58
7) 돈의 흐름과 그 효과 _59
8) 새로운 공급망 모색 _59
9) 주목해야 할 두 나라 _61
5. 경제적 확장정책과 긴축정책의 사례 _64
제2장 코로나 사태의 종식
1. 종식 원인 _72
2. 종식 시점(시기) _72
3. 경제적 효과 _74
4. 돈의 흐름과 그 효과 _75
5. 새로운 공급망 구축 _75
■ 제2부 코로나 이후의 세계경제
제1장 인플레 발생
1. 인플레 발생원인 _76
2. 인플레 발생 기간 _76
3. 나타나는 현상 _78
1) 경제 상승 전환 _78
2) 고가품과 저가품의 매출 차이 발생 _79
3) 인플레 발생 _80
4) 이전된 천문학적인 부채 _81
4. 돈의 흐름과 그 효과 _81
5. 새로운 공급망 구축 지속 _81
제2장 긴축정책 실시
1. 원인 _82
2. 긴축정책의 방법 _82
3. 시점 _82
4. 기간 _82
5. 긴축정책의 사례 _82
6. 경제상황 _89
1) 호황국면에 접어든 경제 _89
2) 이전된 천문학적 부채 _89
7. 긴축정책의 양상 _89
8. 긴축정책 말기에 나타나는 현상 _92
9. 돈의 흐름과 그 효과 _93
10. 새로운 공급망 강화 _93
제3장 부채폭탄 폭발과 신흥국 및 일본 파산
1. 원인 _94
2. 파산 시점 _96
3. 파산의 양상(순서) _97
1) 신흥국 파산 _97
2) 일부 유럽 국가의 파산 가능성 _101
3) 일본 파산 _102
4. 돈의 흐름과 그 효과 _138
5. 새로운 공급망 구축 지속 _138
제4장 대공황 발생
1. 원인 _139
2. 대공황 발생 시점 _139
3. 대공황 기간 _139
4. 세계 각국 등 지역별 대응과 상황 _139
1) 미국 _139
2) 유럽연합(EU) _140
3) 중국 _141
4) 일본 _142
5) 중남미 신흥국 _143
6) 아세안 _143
7) 중동 _144
8) 아프리카 _144
9) 남아시아 _144
10) 중앙아시아 _145
11) 동유럽 _145
12) 대공황 기간에도 경제가 유지될 지역 _145
5. 돈의 흐름과 그 효과 _145
6. 지속되는 새로운 공급망 강화 _145
제5장 미·중 패권전쟁의 마감
1. 무역전쟁 _146
1) 관세 인상 _146
2) 환율 인상 _149
3) 중국 배제의 역효과 _151
4) 중국의 수출 대체지역 개발 _152
2. 과학기술전쟁 _154
3. 금융전쟁 _155
4. 상품교역전쟁 _157
5. 군사충돌 _158
6. 미·중 패권전쟁의 마감 시점 _160
제6장 중국의 몰락
1. 원인 _161
2. 중국의 내수로 버티기 _161
3. 몰락 규모 _168
4. 몰락 시점 _168
5. 결과 _169
제7장 대공황 종식
1. 원인 _169
2. 시점 _169
3. 결과 _170
제8장 세계경제의 회복
1. 원인 _170
2. 시점 _170
3. 기간 _170
4. 과제 _170
제9장 세계 산업의 변화(4차 산업혁명)
1. 4차 산업혁명의 본격 도래 _171
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요 산업 _172
2) 기반산업 및 현금 창출산업 _172
2. 세계경제의 판도 변화 _173
3. 세계질서 재편 _173
■ 제3부 경제 주체별 대응책
제1장 정부
1. 제1차 코로나 사태 시기 _175
1) 경제정책 _175
2) 외교정책 _176
3) 산업 및 과학기술 정책 _178
4) 국방정책 _193
2. 제2, 3차 코로나 사태 시기 _197
1) 제2차 코로나 사태 시기 _197
2) 제3차 코로나 사태 시기 _201
3. 코로나 종식 시기 _202
1) 경제정책 _202
2) 외교정책 _202
3) 산업 및 과학기술 정책 _202
4) 국방정책 _202
4. 코로나 이후 인플레 발생 시기 _202
1) 경제정책 _203
2) 외교정책 _203
3) 산업 및 과학기술 정책 _203
4) 국방정책 _203
5. 긴축정책 실시 시기 _204
1) 경제정책 _204
2) 외교정책 _204
3) 산업 및 과학기술 정책 _204
4) 국방정책 _205
6. 부채폭탄 폭발과 신흥국 및 일본 파산 시기 _205
1) 경제정책 _205
2) 외교정책 _207
3) 산업 및 과학기술 정책 _208
4) 국방정책 _208
7. 대공황 발생 시기 _208
1) 경제정책 _208
2) 외교정책 _210
3) 산업 및 과학기술 정책 _210
4) 국방정책 _211
8. 미·중 패권전쟁의 마감 시기 및 그 이후 _211
1) 미·중 패권전쟁의 마감 시기 _211
2) 중국의 몰락 시기 _212
3) 대공황 종식 시기 _212
4) 세계경제 회복 시기 _213
5) 4차 산업혁명 산업으로의 전환 시기 _214
제2장 기업
1. 제1차 코로나 사태 시기 _216
1) 현금 보유 확대 _216
2) 미래에 대한 투자 _217
3) 짧은 경기순환에 대한 대응 _219
4) 중국탈출 _221
5) 세계경제 회복 및 4차 산업혁명에 대비 _222
2. 제2, 3차 코로나 사태 시기 _222
1) 제2차 코로나 사태 시기 _222
2) 제3차 코로나 사태 시기 _225
3. 코로나 종식 시기 _225
4. 코로나 이후 인플레 발생 시기 _226
1) 짧은 경기순환에 대한 대응 _226
2) 세계경제 회복 및 4차 산업혁명에 대비 _231
5. 긴축정책 실시 시기 _232
1) 짧은 경기순환에 대한 대응 _232
2) 세계경제 회복 및 4차 산업혁명에 대비 _235
6. 부채폭탄 폭발과 신흥국 및 일본 파산 시기 _235
1) 짧은 경기순환에 대한 대응 _236
2) 세계경제 회복 및 4차 산업혁명에 대비 _237
7. 대공황 발생 시기 _237
1) 짧은 경기순환에 대한 대응 _238
2) 세계경제 회복 및 4차 산업혁명에 대비 _239
8. 미·중 패권전쟁의 마감 시기 및 그 이후 _240
1) 미·중 패권전쟁의 마감 시기 _240
2) 중국의 몰락 시기 _240
3) 대공황 종식 시기 _240
4) 세계경제 회복 시기 _240
5) 4차 산업혁명 산업으로의 전환 시기 _241
제3장 가정(가계: 개인)
1. 근로소득 _242
2. 자산소득 _242
1) 주식 _242
2) 부동산 _246
3) 금 _247
4) 달러화 _247
3. 사업소득 _249
4. 부채 _249
제4장 우리나라의 미래
■ 요약 _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