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고구려와 중국의 관계-223, 당나라때-47 (12. 신당서 고종본기②끝)

상 상 2014. 4. 11. 18:03

 

고구려와 중국의 관계-223, 당나라때-47 (12. 신당서 고종본기②끝)

 

차례

 

1. 구당서 돌궐전

2. 구당서 고조본기

3. 구당서 태종본기(상)

4. 구당서 태종본기(하)

5. 구당서 고종본기(상)

6. 구당서 고종본기(하)

7. 구당서 동이열전

8.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당과의 관련부분)

9. 신당서 돌궐전

10. 신당서 고조본기

11. 신당서 태종본기

12. 신당서 고종본기

13. 신당서 동이열전

14. 신구당서 돌궐전 분석 및 해설

15. 신구당서 고조본기 분석 및 해설

16. 신구당서 태종본기 분석 및 해설

17. 신구당서 고종본기 분석 및 해설

18. 신구당서 동이열전 분석 및 해설

19.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분석 및 해설

20. 고구려와 당나라의 관계

 

 

12. 신당서 권3 고종본기②

1) 원문 출처: 新漢籍全文(http://hanchi.ihp.sinica.edu.tw/ihp/hanji.htm)

※ 원문에 들어가는 방법: 위 홈페이지/ 免費使用/ 史/ 正史/ 新唐書/ 本紀/ 卷三

 

번 역 문

원 문

658

(현경)3년 정월 무신일,양주가 구자의 갈렵전과 니사성에서 싸워,패배시켰다.

三年正月戊申,楊冑及龜茲羯獵顛戰于泥師城,敗之。

6월 임자일,정명진이 고려와 적봉진에서 싸워,패배시켰다.

六月壬子,程名振及高麗戰于赤烽鎮,敗之。

11월 갑오일,소정방이 하로를 사로잡아 바쳤다.

十一月甲午,蘇定方俘賀魯以獻。

659

(현경)4년 3월 임오일,곤릉도호 아사나 미사가 서돌궐 진주엽호와 쌍하에서

싸워,패배시켰다.

四年三月壬午,崑陵都護阿史那彌射及西突厥真珠葉護戰于雙河,敗之。

11월 계해일,하로부 실결 궁궐의 사근(俟斤)인 도만이 변경을 침구하여,좌효위대장군 소정방을 안무대사로 삼아 토벌하게 하였다.

十一月癸亥,賀魯部悉結闕俟斤都曼寇邊,左驍衞大將軍蘇定方為安撫大使以伐之。

660

(현경)5년 정월 계묘일,소정방이 도만을 사로잡아 바쳤다.

五年正月癸卯,蘇定方俘都曼以獻。

3월 신해일,좌무위대장군 소정방을 신병도 행군대총관으로 삼고,신라왕 김춘추를 우이도 행군총관으로 삼아,3명의 장군과 신라 병사를 거느리고 백제를 정벌하도록 하였다.

三月辛亥,左武衞大將軍蘇定方為神兵道行軍大總管,新羅王金春秋為嵎夷道行軍總管,率三將軍及新羅兵以伐百濟。

5월 무진일,정양도독 아사덕추빈을 사전도 행군총관으로 삼아,거란을 정벌하도록 하였다.

五月戊辰,定襄都督阿史德樞賓為沙磚道行軍總管,以伐契丹。

8월 경진일,소정방이 백제와 싸워,패배시켰다. 임오일,좌무위대장군 정인태가 실결、발야고、복골、동라전과 싸워,패배시켰다. 계미일,신병도대 총관 아래에 있는 군사와 그 가족을 사면하고,백성들에게 잔치 3일을 주었다.

八月庚辰,蘇定方及百濟戰,敗之。壬午,左武衞大將軍鄭仁泰及悉結、拔也固、僕骨、同羅戰,敗之。癸未,赦神兵道大總管以下軍士及其家,賜民酺三日。

11월 무술일,소정방이 백제왕을 사로잡아 바쳤다.

十一月戊戌,蘇定方俘百濟王以獻。

12월 임오일,좌효위대장군 계필하력을 패강도 행군대총관으로 삼고,소정방을 요동도 행군대총관으로 삼고,좌효위장군 유백영을 평양도 행군대총관으로 삼아,고려를 정벌하도록 하였다. 아사덕추빈이 해 및 거란과 싸워,패배시켰다.

十二月壬午,左驍衞大將軍契苾何力為浿江道行軍大總管,蘇定方為遼東道行軍大總管,左驍衞將軍劉伯英為平壤道行軍大總管,以伐高麗。阿史德樞賓及奚、契丹戰,敗之。

661

용삭원년 정월 무오일,홍려경 소사업을 부여도 행군총관으로 삼아,고려를 정벌하도록 하였다.

龍朔元年正月戊午,鴻臚卿蕭嗣業為扶餘道行軍總管,以伐高麗。

4월 경진일,임아상을 패강도 행군총관으로,계필하력을 요동도 행군총관으로,소정방을 평양도 행군총관으로,소사업을 부여도 행군총관으로,우효위장군 정명진을 누방도 행군총관으로,좌효위장군 방효태를 옥저도 행군총관으로 삼아, 35군(軍)을 거느리고 고려를 정벌하도록 하였다.

四月庚辰,任雅相為浿江道行軍總管,契苾何力為遼東道行軍總管,蘇定方為平壤道行軍總管,蕭嗣業為扶餘道行軍總管,右驍衞將軍程名振為鏤方道行軍總管,左驍衞將軍龐孝泰為沃沮道行軍總管,率三十五軍以伐高麗。

8월 갑술일,소정방이 고려와 패강에서 싸워,패배시켰다.

八月甲戌,蘇定方及高麗戰于浿江,敗之。

10월 계유일,정인태를 철륵도 행군대총관으로,소사업을 선도 행군대총관으로,좌효위대장군 아사나충을 장잠도 행군대총관으로 삼아,철륵을 정벌하도록 하였다.

十月癸酉,鄭仁泰為鐵勒道行軍大總管,蕭嗣業為仙道行軍大總管,左驍衞大將軍阿史那忠為長岑道行軍大總管,以伐鐵勒。

662

(용삭)2년 2월 무인일,방효태가 고려와 사수에서 싸워,죽였다.

二年二月戊寅,龐孝泰及高麗戰于蛇水,死之。

3월 경인일,정인태가 철륵과 천산에서 싸워,패배시켰다.

三月庚寅,鄭仁泰及鐵勒戰于天山,敗之。

7월 무자일,우위위장군 손인사를 웅진도 행군총관으로 삼아,백제를 정벌하도록 하였다.

七月戊子,右威衞將軍孫仁師為熊津道行軍總管,以伐百濟。

이해에,우위장군 소해정을 해도 행군총관으로 삼아,구자를 정벌하도록 하였다. 해정이 곤릉도호 아사나 미사를 살해하였다.

是歲,右衞將軍蘇海政為海道行軍總管,以伐龜茲。海政殺崑陵都護阿史那彌射。

663

(용삭)3년 4월 무자일,이의부를 전주(巂州)에 유배시켰다.

三年四月戊子,流李義府于巂州。

5월 임오일,유주의 (야)만(족이 배반하여,기주도독 장사 유백영으로 하여금 영남 병사로 토벌하도록 하였다.

五月壬午,柳州蠻叛,冀州都督長史劉伯英以嶺南兵伐之。

6월,토번이 토욕혼을 공격하여,양주도독 정인태를 청해도 행군대총관으로 삼아 구하도록 하였다.

六月,吐蕃攻吐谷渾,涼州都督鄭仁泰為青海道行軍大總管以救之。

9월 무오일,손인사가 백제와 백강에서 싸워,패배시켰다.

九月戊午,孫仁師及百濟戰于白江,敗之。

12월 경자일,다음 해를 인덕원년으로 고치고,서울과 옹주여러 현의 사형죄 이하를 내려주었다. 임인일,안서도호 고현을 행군총관으로 삼아,궁월을 토벌하도록 하였다.

十二月庚子,改明年為麟德元年,降京師、雍州諸縣死罪以下。壬寅,安西都護高賢為行軍總管,以伐弓月。

665

인덕2년 이 봄에,소륵、궁월、토번이 우전을 공격하여,

서주도독 최지변과 좌무위장군 조계숙이 구하였다.

麟德二年是春,疏勒、弓月、吐蕃攻于闐,西州都督崔智辯、左武衞將軍曹繼叔救之。

666

건봉원년 6월 임인일,고려의 천남생이 내부(內附)를 청하여,우효위대장군 계필하력을 요동 안무대사로 삼아,병사를 거느리고 돕게 하였다. 좌금오위장군 방동선과 영주도독 고간을 요동도 행군총관으로 삼고,좌무위장군 설인귀와 좌감문위장군 이근행을 후원군(後援)으로 삼았다.

乾封元年六月壬寅,高麗泉男生請內附,右驍衞大將軍契苾何力為遼東安撫大使,率兵援之。左金吾衞將軍龐同善、營州都督高偘為遼東道行軍總管,左武衞將軍薛仁貴、左監門衞將軍李謹行為後援。

9월,방동선이 고려와 싸워,패배시켰다.

九月,龐同善及高麗戰,敗之。

12월 기유일,이적을 요동도 행대 대총관으로 삼아,6개의 총관병을 거느리고 고려를 정벌하도록 하였다.

十二月己酉,李勣為遼東道行臺大總管,率六總管兵以伐高麗。

667

(건봉)2년 9월 신미일,이적이 고려와 신성에서 싸워,패배시켰다.

二年九月庚申,以餌藥,皇太子監國。辛未,李勣及高麗戰于新城,敗之。

668

총장원년 정월 임자일,유인궤를 요동도 부대총관 겸 안무대사 및 패강도 행군총관으로 삼았다.

總章元年正月壬子,劉仁軌為遼東道副大總管兼安撫大使、浿江道行軍總管。

2월 임오일,이적이 고려를 패배시키고,부여、남소、목저、창암성을 함락하였다.

二月丁巳,皇太子釋奠于國學。戊寅,如九成宮。壬午,李勣敗高麗,克扶餘、南蘇、木底、蒼巖城。

9월 계사일,이적이 고려왕 고장을 패배시키고,붙잡았다.

九月癸巳,李勣敗高麗王高藏,執之。

12월 정사일,고장을 사로잡아 바쳤다. 정묘일,(황제가) 남쪽 교외에서 제사를 지냈다.

十二月丁巳,俘高藏以獻。丁卯,有事于南郊。

670

함형 원년 4월 경오일,고려 추장 검모잠이 반란을 일으켜,변경을 침구하니,좌감문위대장군 고간을 동주도 행군총관으로 삼고,우령군위대장군 이근행을 연산도 행군총관으로 삼아,토벌하였다.

咸亨元年 四月 庚午,高麗酋長鉗牟岑叛,寇邊,左監門衞大將軍高偘為東州道行軍總管,右領軍衞大將軍李謹行為燕山道行軍總管,以伐之。

7월 무자일,설인귀와 토번이 대비천에서 싸웠으나,패배하였다.

七月戊子,薛仁貴及吐蕃戰于大非川,敗績。

윤9월 갑인일,강각을 양주도 행군대총관으로 삼아,토번을 토벌하였다.

閏9月甲寅,姜恪為涼州道行軍大總管,以伐吐蕃。

674

상원 원년 2월 임오일,유인궤를 계림도 행군대총관으로 삼아,신라를 토벌하였다.

上元元年二月壬午,劉仁軌為雞林道行軍大總管,以伐新羅。

675

상원 2년 정월 신미일,토번이 화의를 청하였다.

상원 二年正月辛未,吐蕃請和。

2월,유인궤와 신라가 칠중성에서 싸워,패배시켰다.

二月,劉仁軌及新羅戰于七重城,敗之。

4월 신사일,천후(天后:측천무후)가 주왕 (이)현의 왕비 조씨를 죽였다. 기해일,천후(天后: 측천무후)가 황태자를 죽였다.

四月辛巳,天后殺周王顯妃趙氏。己亥,天后殺皇太子。

676

의봉 원년 윤3월 기사일,토번이 선주、곽주、하주、방주 등 4개 주(州)를 침구하여,좌감문위중랑장 영호지통이 토벌하였다. 을유일,주왕 (이)현을 조하도 행군원수로 삼아,領 좌위대장군 유심례 등 12총관을 거느리며,상왕 (이)륜을 양주도 행군원수로 삼아,계필하력 등의 군을 거느리고,토번을 토벌하였다.

儀鳳元年 閏3月己巳,吐蕃寇鄯、廓、河、芳四州,左監門衞中郎將令狐智通伐之。乙酉,周王顯為洮河道行軍元帥,領左衞大將軍劉審禮等十二總管,相王輪為涼州道行軍元帥,領契苾何力等軍,以伐吐蕃。

677

의봉2년 5월,토번이 부주를 침구하였다.

의봉2년 五月,吐蕃寇扶州。

12월 을묘일,관내와 하동의 용사를 모집하여,토번을 토벌하였다.

十二月乙卯,募關內、河東猛士,以伐吐蕃。

이해에,서돌궐과 토번이 안서를 침구하였다.

是歲,西突厥及吐蕃寇安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