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사연구초

평양 패수고(平壤浿水考: 단재 신채호) - 2

상 상 2011. 7. 2. 19:17

대개 그들의 착오가 어디에 있는가

 

2. 제1의 착오

 

제1의 착오는 평양, 패수의

음의 뜻을 해독하지 못함이다.

 

역사책(史冊)에 보면 평양(平壤), 평양(平穰), 평나(平那), 변나(卞那), 백아(百牙), 낙랑(樂浪), 낙랑(樂良), 패수(浿水), 패강(浿江),

패하(浿河) 등은 다만 “펴라”를 각종의 가음(假音: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 말을 표기한 글자)으로 쓴 것이니,

 

평양(平壤), 평양(平穰), 평나(平那), 변나(卞那), 백아(百牙)는 다 그 음의 첫소리(초성,初聲)을 읽어 “펴라”가 되고,

 

낙랑(樂浪), 낙랑(樂良)은 낙(樂)의 뜻 “풍류”의  첫소리(초성,初聲)을 읽으며,

랑(浪)과 랑(良은) 그 음(音) “랑”의  첫소리(초성-初聲)  가운데 소리(중성,中聲)을 읽어 “펴라”가 되고,

 

패수(浿水), 패강(浿江), 패하(浿河)는 (패)浿의 음 “패”의 첫 소리(초성,初聲)을 읽으며

수(水) 강(江) 하(河)의 뜻 “라”의 모든 소리를 읽어 “펴라”가 된 것이니,

 

이상 운운(云云)은 졸저 이두문 해석에 설명한지라. 여기에서는 상술하지 않는다.

 

“펴라”는 본래 강의 이름으로

그 강상(江上)에 건설한 도성(都城)도 “펴라”라 이름 한 것이니,

 

졸본하(卒本河) 상(上)에 졸본국(卒本國)이 있고, 사비강(泗沘江) 상(上)에 사비국이 있는 종류니,

 

평양(平壤), 평양(平穰), 평나(平那), 변나(卞那), 백아(百牙), 낙랑(樂浪), 패수(浿水) 등이

비록 그 문자는 서로 다르나 그 “펴라”의 가음(假音)됨은 동일하며,

 

비록 그 펴라의 가음(假音)됨은 동일하나

다만 패수 패하 등은 ‘강’의 펴라를 가리키는 글자임에 반하여

 

平壤, 平穰, 平那, 卞那, 百牙, 樂浪 등은 ‘성(城)’의 펴라를 가리키는 글자됨이 다르며,

 

성(城)의 펴라와 강(江)의 펴라가 비록 하나는 물이고 하나는 땅으로 서로 다르나,

양 펴라의 거리가 마치 눈과 눈썹같이 매우 가까운 것 이어늘

 

후세에 이두문(吏讀文)을 모르는 학자들이 이를 한자의 음으로 그대로 읽어

平壤은 평양, 平那는 평나, 百牙는 백아, 樂浪은 낙랑 혹 락랑, 浿水는 패수가 되어

수륙 양 펴라의 밀접한 관계가 알 수 없이 된지라,

 

이에 다만 조선의 옛 기록(고기,古記)이나 중국의 사기, 한서 등의 왕검성평양(王儉城平壤)이

패수의 동쪽에 있다는 추상적 문자에 의하여 패수와 평양의 위치를 찾으니,

 

혹은 요하를 패수로 잡는 동시에 봉황성(鳳凰城)을 평양이라 하며,

혹 압록강을 패수로 잡는 동시에 지금 평양을 평양이라 하며,

혹 대동강을 패수로 잡는 동시에 지금의 서울(한양,漢陽)을 평양이라 하며,

또 혹 평양이란 짝(배필-配匹)이 없는 예성강(禮成江), 벽란도(碧瀾渡) 등의 홀아비의 패수도 생기며,

혹 패수란 동무가 없는 춘천, 성천(成川)의 외아들의 평양도 생기어

 

삼국사기 삼국유사 여지승람 열하일기 동사강목 해동역사 아방강역고 등의 이에 대한 쟁론이 분분하였지만,

사실은 모두 맹인이 활을 쏨과 같아 과녁을 맞추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평양과 패수를 찾으려면

제1에 그 음의 뜻을 해독하여

패수를 떠나서 평양이 없고

평양을 떠나서 패수가 없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

< ‘평양패수고’를 읽으면 단재선생께서 역사학자로써 얼마만한 역량을 가지고 계시는지 아실 것입니다.>

 

1) 출처: 조선사연구초(인터넷 판 - 위키문헌)

http://ko.wikisource.org/wiki/%EC%A1%B0%EC%84%A0%EC%82%AC_%EC%97%B0%EA%B5%AC_%EC%B4%88

 

2) 참고문헌: 조선상고문화사(외), 비봉출판사, 2008년판

 

 

. 조선사 연구 초(朝鮮史硏究草), <저자: 신채호>

 

가. 古史上 이두문 명사 해석법

나. 삼국사기(三國史記) 중 동서(東西) 양자(兩字)의 상환(相換) 고증(考證)

다. 삼국지 동이열전 교정

라. 평양 패수고

마. 전후 삼한고(前後 三韓考)

바. 조선역사상 일(一)천년래 제일 대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