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본기

삼국사기 신라 제3대 유리 이사금- 1

상 상 2011. 11. 10. 22:19

0 년 (AD 24) : 유리 이사금이 왕위에 올랐다.

[번역문]

유리 이사금(儒理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남해의 태자이다. 어머니는 운제부인이고 왕비는 일지(日知) 갈문왕(葛文王)의 딸이다.

<혹은 왕비의 성은 박씨이고 허루왕(許婁王)의 딸이라고도 하였다.>

 

앞서 남해가 죽자 유리가 마땅히 왕위에 올라야 했는데, 대보(大輔)인 탈해가 본래 덕망이 있었던 까닭에 왕위를 미루어 사양하였다.

탈해가 말하였다.

임금의 자리는 용렬한 사람이 감당할 수 있는 바가 아니다.

내가 듣건대 성스럽고 지혜로운 사람은 이[齒]가 많다고 하니 떡을 깨물어서 시험해보자.

유리의 잇금[齒理]이 많았으므로 이에 좌우의 신하와 더불어 그를 받들어 세우고 이사금(尼師今)이라 불렀다.

옛부터 전해져오는 것이 이와 같다.

 

김대문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이사금은 방언으로 잇금을 일컫는 말이다. 옛날에 남해(南解)가 장차 죽을 즈음에 아들 유리(儒理)와 사위 탈해(脫解)에게 일러

말하기를 '내가 죽은 후에 너희 박(朴), 석(昔) 두 성(姓) 가운데 나이가 많은 사람이 왕위를 이어라.'고 하였다.

그 후에 김씨 성이 또한 일어나 3성(三姓)에서 나이가 많은 사람이 서로 왕위를 이었던 까닭에 이사금이라 불렀다.

 

2 년 (AD 25) : 봄 2월에 친히 시조묘(始祖廟)에 제사

[번역문]

2년(서기 25) 봄 2월에 친히 시조묘(始祖廟)에 제사지내고 크게 사면하였다.

 

5 년 (AD 28) : 겨울 11월에 왕이 나라 안을 순행하다

[번역문]

5년(서기 28) 겨울 11월에 왕이 나라 안을 순행(巡行)하다가 한 할멈이 굶주리고 얼어서 죽어가고 있는 것을 보고 말하였다.

내가 미미한 몸으로 왕위에 있으면서 백성을 능히 기르지 못하여 늙은이와 어린 아이로 하여금 이 지경에까지 이르게 하였으니,

이는 나의 죄이다.[왕이] 옷을 벗어서 덮어주고 밥을 주어 먹게 하였다.

그리고 담당 관청에 명하여 곳곳에 있는 홀아비[鰥]와 홀어미[寡], 부모없는 아이[孤], 자식 없는 늙은이[獨]와 늙고 병들어

스스로 살아갈 수 없는 사람을 위문하고 양식을 나누어 주어서 부양하게 하였다.

이에 이웃 나라의 백성들이 소문을 듣고 옮겨 오는 자가 많았다.

이 해에 백성의 풍속이 즐겁고 편안하여 비로소 도솔가(兜率歌)를 지었다. 이것이 가악(歌樂)의 시초이다.

 

9 년 (AD 32) : 봄에 6부의 이름을 바꾸고 그에 따라 성을

[번역문]

9년(서기 32) 봄에 6부의 이름을 바꾸고 그에 따라 성을 내려주었다.

 

양산부를 양부(梁部)로 고치고 성은 이(李)로 하였고,

고허부를 사량부(沙梁部)로 고치고 성은 최(崔),

대수부를 점량부(漸梁部)<또는 모량부(牟梁部)라고도 하였다.>로 고치고 성은 손(孫),

간진부를 본피부(本彼部)로 고치고 성은 정(鄭),

가리부를 한기부(漢祇部)로 고치고 성은 배(裵),

명활부를 습비부(習比部)로 고치고 성은 설(薛)로 하였다.

 

또 관(官)을 설치하였는데, 17등급이 있었다.

첫째는 이벌찬(伊伐湌), 둘째는 이척찬(伊尺湌), 셋째는 잡찬(迊湌), 넷째는 파진찬(波珍湌), 다섯째는 대아찬(大阿湌),

여섯째는 아찬(阿湌), 일곱째는 일길찬(一吉湌), 여덟째는 사찬(沙湌), 아홉째는 급벌찬(級伐湌),

열째는 대나마(大奈麻), 열한째는 나마(奈麻),

열두째는 대사(大舍), 열세째는 소사(小舍), 열네째는 길사(吉士),

열다섯째는 대오(大烏), 열여섯째는 소오(小烏),

열일곱째는 조위(造位)였다.

 

왕이 6부를 정하고 나서 이를 반씩 둘로 나누어 왕의 딸 두 사람으로 하여금 각각 부(部) 안의 여자들을 거느리고 무리를 나누어

편을 짜서 가을 7월 16일부터 매일 아침 일찍 큰 부[大部]의 뜰에 모여서 길쌈을 하도록 하여 밤 10시경에 그치는데,

8월 15일에 이르러 그 공적의 많고 적음을 헤아려 진편은 술과 음식을 차려서 이긴 편에게 사례하였다.

이에 노래와 춤과 온갖 놀이를 모두 행하는데 그것을 가배(嘉俳)라 하였다.

이때 진편에서 한 여자가 일어나 춤을 추며 탄식해 말하기를 "회소 회소(會蘇)"라고 하였는데,

그 소리가 슬프고도 아름다워 후대 사람들이 그 소리를 따라서 노래를 지어 회소곡(會蘇曲)이라 이름하였다.

==========================================================================================================================

1. 삼국사기 원본 출처: http://koreandb.nate.com/history/saki/saki?kind=b

 

2. 해설과 분석

 

1) 신라 3대 임금인‘유리’때에는 왕호를‘이사금’이라고 하였습니다.

시조 박혁거세 때에는‘거서간’이라고 하였고,

2대 임금인‘남해’때에는 왕호를‘차차웅’이라고 하였습니다.

 

2) ‘이사금’이란 말에 대하여:

떡을 깨물어 이의 흔적 즉, 잇금[齒理]을 이사금(尼師今)이라고 했다는 것은

위에 있는 본기에 나와 있는 것처럼 「옛부터 전해져오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고기(古記)에 전해져 오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다음의 기록이 또한 중요하다.

『김대문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이사금(尼師今)은 방언으로 잇금[齒理]을 일컫는 말이다.』

즉, 임금을 이두문으로 쓴 것으로 보인다. 다시말해서 우리민족은 예전부터 왕을 임금이라고 불러온 것이다.

 

3) 위에서 보면 6부의 이름을 바꾸고 각부에 성씨를 주었는데,

 

여기에서 보이는

‘①양산부, ②고허부, ③대수부, ④간진부, ⑤가리부, ⑥명활부’의 6부란

 

신라 시조 ‘박혁거세’에서 나오는 6부,

‘①알천 양산 ②돌산 고허 ③취산 진지 ④무산 대수 ⑤금산 가리 ⑥명활 고야’이다.

 

(시조 박혁거세 때와 6부의 순서가 약간 바뀌고 있음을 볼수 있다. 즉,

무산 대수와 취산 진지(간진)가 순서가 바뀌어 있다.)

 

4) 6부 이름을 바꾸고, 성(姓)씨를 각부에 준 것을 다시한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양산부를 양부(梁部)로 고치고                                        성은 이(李)로 하였고,

고허부를 사량부(沙梁部)로 고치고                                    성은 최(崔),

대수부를 점량부(漸梁部)<또는 모량부(牟梁部)라고도 하였다.>로 고치고 성은 손(孫),

간진부를 본피부(本彼部)로 고치고                                    성은 정(鄭),

가리부를 한기부(漢祇部)로 고치고                                    성은 배(裵),

명활부를 습비부(習比部)로 고치고                                    성은 설(薛)로 하였다.

 

(※ 그러나 고친 후의 부 이름이 이두문 이어서 이 기록은 앞뒤가 바뀌었다고 단재선생께서 지적한 바 있음)

 

여기에 나오는‘이, 최, 손, 정, 배, 설’씨와(6개 성씨), 신라 왕가의 성씨인 ‘박, 석, 김’씨(3개 성씨)가

우리나라(2000년 현재), 전체 인구의 약 60%로 한국사회의 주요 성씨를 이루고 있다.

(전체 한국의 성씨는 286개이며 위 9개 성씨중‘설’씨와‘석’씨는 사람수가 적다.)

 

5) 그 다음에 나오는 글은 신라의 17등급 관직을 설치하고 그 관직 이름을 나열한 것이다.

 

그 명칭을 다시한번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이벌찬(伊伐湌), 둘째는 이척찬(伊尺湌), 셋째는 잡찬(迊湌), 넷째는 파진찬(波珍湌), 다섯째는 대아찬(大阿湌),

여섯째는 아찬(阿湌), 일곱째는 일길찬(一吉湌), 여덟째는 사찬(沙湌), 아홉째는 급벌찬(級伐湌),

열째는 대나마(大奈麻), 열한째는 나마(奈麻),

열두째는 대사(大舍), 열세째는 소사(小舍), 열네째는 길사(吉士),

열다섯째는 대오(大烏), 열여섯째는 소오(小烏),

열일곱째는 조위(造位).

 

이와같이 관료제도를 정비하였으니 제3대 유리 이사금 때부터 신라는 고대국가의 면모를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 맨 마지막에 나오는 글은 우리의 명절, 한가위(추석)의 유래이다.

이를 볼때 우리나라 팔월 한가위의 풍습은 우리 민족 고유의 풍습이며, 또한 매우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7) 끝으로 신라의 왕호(왕의 호칭)을 보면 다음과 같다.

시조 박혁거세(거서간)

2대 남해(차차웅)

3대 유리(이사금) ~  18대 실성(이사금) : 16명

19대 눌지(마립간) ~ 21대 소지(마립간):  3명

22대 지증(왕) ~     56대 경순(왕) :     35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