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남제서[南齊書] 동남이열전(東南夷列傳) 7. 남제서[南齊書] 동남이열전(東南夷列傳) 차 례 1. 고구려(高句麗) 2. 백제(百濟) 3. 가라(加羅) ○ 남제서(南齊書) 동남이열전(東南夷列傳) 1. ○ 고려(高[구(句)]麗) 1) ○ 동이(東夷) 고려국(高[구(句)]麗國)은 서쪽으로 위(魏) 오랑캐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송(宋)나라 말(末)에 고려왕(高麗王.. 조선전, 동이전 2012.01.22
6. 송서[宋書] 이만열전(夷蠻列傳) 6. 송서[宋書] 이만열전(夷蠻列傳) 차 례 1. 고구려(高句驪) 2. 백제(百濟) ○ 송서(宋書) 이만열전(夷蠻列傳) 1. 고구려국(高句驪國) 1)○동이(東夷) 고구려국(高句驪國)은 현재 한대(漢代)의 요동군(遼東郡)을 지배하고 있다. 고구려왕 고련(高璉)이 진(晋) 안제(安帝) 의희(義熙) 9년(A.D.413; 高.. 조선전, 동이전 2012.01.21
5. 진서[晋書] 동이열전(東夷列傳) 5. 진서[晋書] 동이열전(東夷列傳) 차 례 1. 부여(夫餘) 2. 마한(馬韓) 3. 진한(辰韓) 4. 숙신(肅愼) ○ 진서(晋書)[註001] 동이열전(東夷列傳)[註002] 1. 부여국(夫餘國)[註003] 1) ○부여국(夫餘國)[註004]은 현도(玄菟)의 북쪽 천여리에 있는데, 남쪽은 선비(鮮卑)[註005]와 접해 있고,[註006] 북쪽에.. 조선전, 동이전 2012.01.20
4.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 4.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 차 례 1. 서(序) 2. 부여(夫餘) 3. 고구려(高句麗) 4. 동옥저(東沃沮) 5. 읍루(挹婁) 6. 예(濊) 7. 한(韓) 8. 찬자평(撰者評) 1. 서(序) 1)○ 서경(書經)에 ‘동쪽은 바다에 닿았고 서쪽은 사막에까지 이르렀다’하였으니, 구복(九服)의 제도(制度) 이.. 조선전, 동이전 2012.01.19
3. 후한서[後漢書] 동이열전(東夷列傳) 3. 후한서[後漢書] 동이열전(東夷列傳) 차 례 1. 서(序) 2. 부여(夫餘) 3. 읍루(挹婁) 4. 고구려(高句驪) 5. 동옥저(東沃沮) 6. 예(濊) 7. 한(韓) 8. 찬자평(撰者評) 1. 서(序) 1)「왕제(王制)」에 이르기를 ‘동방(東方)을 이(夷)라 한다’고 하였다. 이(夷)란 근본(根本)이다. [그 의미는] 이(夷)가 .. 조선전, 동이전 2012.01.18
2. 한서[漢書] 조선전(朝鮮傳) 2. 한서[漢書] 조선전(朝鮮傳) ○ 한서(漢書) 조선전(朝鮮傳) 1) 조선왕(朝鮮王) 만(滿)은 연(燕)나라 사람이다. 처음 연(燕)나라 때부터 일찍이 진번(眞番)과 조선(朝鮮)을 침략하여 복속시키고, 군리(軍吏)를 두기 위하여 국경에 성을 쌓았다. 진(秦)나라가 연(燕)을 멸(滅)한 뒤에는 요동외요.. 조선전, 동이전 2012.01.17
1. 사기(史記) 조선열전(朝鮮列傳) ○ 사기(史記) 조선열전(朝鮮列傳) 조선(朝鮮) 1)조선왕(朝鮮王) 만(滿)은 옛날 연(燕)나라 사람이다. 처음 연(燕)나라의 전성기(全盛期)로부터 일찍이 진번(眞番)과 조선(朝鮮)을 침략하여 복속시키고, 관리를 두어 국경에 성과 요새를 쌓았다. 진(秦)이 연(燕)을 멸한 뒤에는 [그곳을] 요동(.. 조선전, 동이전 2012.01.16
중국 정사에 있는 조선전, 동이전을 올립니다. 오늘부터 중국 정사에 있는 조선전, 동이전을 올립니다. (출처: 중국정사 조선전 http://db.history.go.kr/url.jsp?ID=ko_009) 25사 중에서, 진서(陳書)와 북제서(北齊書)에는 외국전(外國傳)이 없으므로 동이전 등이 없습니다. 따라서 나머지 23사 등에 있는 조선전, 동이전 등을 올립니다. 이것.. 조선전, 동이전 2012.01.16